노벨문학상 한강 발굴한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심사위원 김병익 문학평론가
“우연한 인연”겸손으로 답했지만“인간존재 사유 계속해야 할 의무”
상의 무게 견딜 작가에게 조언도
“필명 한강현, 처음엔 남자인 줄…”
오빠 한동림도 다음해 본지 당선
한강의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소감이 실린 1994년 1월 4일자 지면.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당시 심사평 내용 중 발췌
“‘붉은 닻’은 매우 서정적인 작품이어서 육체적인 병과 마음의 병을 앓아 온 형과 동생과 그들 간의 미묘한 갈등, 사라진 남편 대신 그들을 기다리는 어머니의 안쓰러운 모습이 섬세한 문장 속에 깊이 박혀 잔잔한 긴장과 화해의 밝은 전망을 유발시킨다. 한강현씨에게 정진을 당부하는 축하를 보낸다.”
<1994년 1월 4일자 서울신문에 실린 서기원·김병익 심사평>
“소설가 서기원(1930~2005) 선생과 이견 없이 쉽게 당선작을 골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한강 작가가 소설가로 첫발을 내디딜 수 있었던 것은 199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소설 ‘붉은 닻’이 당선되면서부터다.
한강의 서울신문 신춘문예 당선 당시 소설 부문 심사위원을 맡은 김병익 문학평론가.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김병익(86) 문학평론가는 13일 서울신문과의 단독 전화 인터뷰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발굴해 낸 주인공’이라고 말을 건네자 “우연히 운이 닿아 (한 작가와) 인연을 맺은 것뿐”이라면서도 앞으로 상의 무게를 견뎌야 하는 작가에 대한 격려와 조언을 잊지 않았다. 김 평론가는 “상을 받는다는 건 어떤 의무감이 주어지는 것”이라며 “세계와 인간존재에 대한 사유를 계속해야 하는 의무를 짊어지게 된 한 작가가 오랫동안 자신의 세계를 넓혀 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1994년 신춘문예 심사 당시 기억을 묻자 김 평론가는 “당선작을 뽑은 뒤 당선자 약력을 보니 한씨에 남자 이름인 데다 주소지를 보고 혹시 소설가 한승원의 아들이 아닐까 추측했다”며 “나중에 당선자가 여자인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회상했다. 그는 이어 “한승원 선생 딸이 앞서 잡지 ‘문학과사회’에서 시로 등단한 것으로 알고 있어 그 딸이 시와 소설을 모두 쓸 것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한강은 ‘한강현’이라는 필명으로 신춘문예에 응모했다.
등단 후 한강이 그의 집으로 인사 왔던 일도 기억했다. 김 평론가는 “신춘문예에 당선되고 나서 인사차 (서울 은평구) 구산동에 있는 우리 집에 왔었다”며 “당시 오갔던 이야기는 다 기억나지 않지만 함께 차를 마시고 2층 창밖으로 마당을 한참 내려다보던 모습이 생각난다”고 말했다.
김 평론가는 한강의 아버지 한승원 작가의 가족 이야기도 전했다. 그는 “남편은 물론 자녀 셋(아들 둘, 딸 하나)까지 온 가족이 작품을 쓴다고 방마다 밤새 불이 켜져 있다고 한승원씨 부인이 신세한탄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웃었다.
한강의 오빠인 한동림 작가 역시 서울신문 신춘문예 출신이다. 한강이 먼저 1994년 등단했고 한동림 작가는 그다음 해인 1995년 소설 ‘변태시대’로 등단했다. 한강은 1994년 당선 소감에서 “주저앉고 싶던 순간마다 집요하게 등단을 격려해 주곤 하던 오라버님”이라며 오빠에 대한 고마움을 전하기도 했다.
김 평론가는 내로라하는 문인들은 물론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까지 배출해 낸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대한 당부도 전했다. 그는 “계속 작가 지망생들의 힘이 돼 훌륭한 작가를 배출하고 그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문학의 명맥이 이어질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일간지 문화부 기자 출신인 김 평론가는 1975년 출판사 문학과지성사를 세워 대표로 재직했으며 2000년 퇴임해 문학과지성사 상임고문으로 있다.
2024-10-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