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안 가야리 유적지의 토성 내부와 외부 성벽을 관통하는 석축 배수시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
고대 아라가야의 왕성터로 알려진 경남 함안 가야리 유적지에서 5세기 후반 축조된 토성의 배수 체계가 처음 확인됐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는 11일 “가야 지역에서 토성의 배수 체계가 발견된 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굴 조사에서 성벽 안에 모인 물을 성 밖으로 빼내는 석축 배수 시설과 물 흐름의 속도를 늦추는 저감 장치 등 고대 가야인의 뛰어난 토목 기술 실체가 일부 드러났다.
아라가야 왕성의 토성은 둘레 2.4㎞로 서울 풍납토성보다는 작지만 경주 월성과는 비슷한 규모로 가야 지역 내 최대 크기다. 먼저 가야리 유적에서 좁게 움푹 패어 들어간 지형인 곡간지에서 너비 1.0~3.5m의 성벽을 통과하는 수로가 발견됐다. 성벽 안에서는 1m 내외로 좁게, 성벽 밖 부분에서는 최대 3.5m까지 벌어지는 나팔 모양의 이 수로는 물이 흐르는 속도를 늦추는 형태로 만들어졌다.
토성의 방어 시설인 ‘토루’(土壘)의 성토층 내에서는 제사나 의례 행위를 지낸 것으로 추정되는 솥 모양의 ‘부형 토기’와 ‘단경호’(짧은 목 항아리)도 발견됐다. 권택장 연구관은 “2.4㎞의 토성에서 불과 50~60m 정도의 발굴 조사만 이뤄진 상황인 만큼 앞으로도 예상치 못한 유물과 연구 성과가 발견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연구소는 13일 발굴 성과를 공개하는 현장 설명회를, 오는 20일에는 함안 박물관에서 학술 토론회를 연다.
2024-1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