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일본어 시 28편 새 번역한 ‘영원한 가설’ 출간
김현우 읻다 대표(왼쪽)와 김동희 번역가가 1956년 발간한 ‘이상전집’과 초창기 일본어 시를 번역한 ‘영원한 가설’을 들어 보이고 있다.
시인 이상이 초창기에 발표한 일본어 시가 지금의 문체를 입고 새로 나왔다. 지금 우리가 다가가기 쉬운 책으로 거듭났다. 출판사 읻다는 이상의 초창기 일본어 시를 엮은 ‘영원한 가설’을 출간했다고 15일 밝혔다.
책은 ‘이상한 가역반응’ 등 단편 6편을 비롯해 연작 ‘조감도’ 8편, ‘삼차각설계도’ 7편, ‘건축무한육면각체’ 7편의 총 28편을 수록했다.
이상은 1929년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한 후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에서 근무했다. 1930년 잡지 ‘조선’에 소설을 연재하고, 1931~1932년 공모를 거쳐 건축잡지 ‘조선과 건축’에 일본어 시 28편을 4차례에 걸쳐 발표했다. 그의 사후 일본어로 쓴 다른 시와 글이 이상의 유족을 통해 발굴됐지만, 공식적으로 게재된 유일한 일본어 시다.
시는 1956년 문학평론가 임종국과 유정의 ‘이상전집’에 번역 수록된 이후 그동안 정본처럼 여겨졌다. 그러나 실은 오역도 있고 잘못 번역된 부분도 있다. 김동희 번역가는 15일 서울 종로구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상이라는 형식에 압도되지 않고 면밀히 고증하되, 동시대 언어로 옮기는 작업을 1년 넘도록 해왔다”고 설명했다. 김 번역가와 2명의 평론가, 출판사 편집부 직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초고를 읽고 일본어 감수 과정을 했다.
‘영원한 가설’ 표지. 읻다 제공
이밖에 ‘보기숭할지경’은 ‘볼품없을 정도로’, ‘이러구려’는 ‘그럭저럭’, ‘紅도꺠비 靑도깨비’는 원문에 따라 ‘붉은 귀신 푸른 귀신’으로 고쳤다. 해석하거나 주석을 달지 않고 원문의 시어를 최대한 바로 잡는 이른바 ‘어석작업’에 치중했다.
특히 띄어쓰기를 하면서 시 읽기가 한결 수월해졌다. 김 번역가는 “1933년 한글 맞춤법이 통일되기 이전에 쓴 시들이어서 띄어쓰기에 대한 개념이 부족했다. ‘이상전집’을 통해 한글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이를 그대로 붙여 쓰면서 ‘이상의 시는 어렵다’는 생각이 생겨난듯 하다”면서 “연구를 거쳐 생략된 띄어쓰기를 추가했고, 지금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로 읽을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김 번역가는 이번 작업에 관해 “이상은 완벽하게 해석될 수 없는 존재이고, 이번 번역 역시 여러 한계로 완벽하다 할 수 없다. 앞으로도 이상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해석과 번역의 가능성은 여전하다”면서 “연구를 더해 새로운 번역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