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제공 영화진흥위원회.
8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2년 한국 영화산업 성인지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순제작비 30억 이상 상업영화에서 여성 인력 비중은 16.9%로 전년도 23.4%에서 7% 포인트 감소했다. 2020년 20%를 넘겨 2021년까지 그 수준을 유지해 오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순제작비 30억 이상 상업영화는 지난해 36편으로 전년도 17편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남성 주연 영화가 29편으로 여성 주연 7편보다 4배가 더 많았다. 평균 스크린 수는 12.7%, 평균 상영횟수는 63.7% 높았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지난해 대비 순제작비 30억 이상 상업영화가 2배로 늘었지만, 시장 상황이 여성에게는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흥행 30위 순위 한국영화를 대상으로 ‘벡델 테스트’를 해보니, 통과한 작품이 10편(35.7%)에 그쳤다. 이는 최근 5년 사이 가장 낮은 수치이다.
이 테스트는 미국 여성 만화가 엘리슨 벡델이 고안한 성평등 테스트로, ‘이름을 가진 여자가 두 명 이상 등장’, ‘이들이 서로 대화할 것’, ‘대화 내용에 남자와 관련된 것이 아닌 내용이 있을 것’의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살핀다.
전체 개봉작 202편을 대상으로 분석해보니, 전체 여성 인력 비중이 26.0%로 지난해의 26.3%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직군별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여성 감독은 45명(20.2%), 여성 제작자는 70명 (22.2%), 여성 프로듀서는 80명(31.4%), 여성 주연은 104명(46.0%), 여성 각본가는 66명(28.6%), 여성 촬영감독은 31명(11.4%)이었다. 주연과 제작자를 제외한 나머지 직종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영진위 측은 “여성 영화인은 극장영화가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경향도 나타났는데, 시장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면서도 “여성 인력 이동의 경우 기존 시장의 성별에 따른 불평등한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는 측면이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보고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한국 영화산업의 산업 통계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담았다. 홈페이지(kofic.or.kr)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