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Zoom in] 亞 해적 상반기만 50건… 1년 새 2배 늘어
화물선 등 운항 줄자 소형 선박 공격 나서일부 코로나 탓 ‘실직 어민’ 해적 가담도
지난달 24일 서부 아프리카 베냉 인근에서 불상의 납치단체에 피랍됐다가 한 달 만인 지난 24일 석방된 한국인 선원들의 사례에서 보듯이 서아프리카는 지난해 전 세계 해상 납치 사건의 90.3%가 집중되는 등 해적의 온상지로 꼽힌다. 지난 2일 중국 국적 선원 5명이, 17일에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선원 13명이 피랍되는 등 최근까지도 서아프리카에서는 해적의 공격이 계속되고 있다.
해적의 출몰은 아프리카 해역만의 문제가 아니다. BBC는 최근 보도에서 아시아 전역의 해역에서 해적 사건이 올해 상반기에만 50건 발생하며 주변국의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상반기 발생한 해적 사건이 25건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로 급증한 것이다. 이 가운데 전 세계적으로 상업 선박들의 이동이 많은 싱가포르 해협에서만 지난 상반기 해적 관련 범죄가 16건이나 발생했다.
서아프리카의 해적 사건들은 과거 해상 범죄가 빈번했던 대표적 지역인 동아프리카 소말리아 해역에서 옮겨온 ‘풍선효과’라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동아프리카에서의 대대적인 퇴치 작전을 피해 해적들이 서아프리카 일대를 새로운 활동 근거지로 삼고 있다는 의미다.
더불어 코로나19는 해적들이 더욱 활개를 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코로나19와 저유가 사태로 유조선, 화물선 등 대형 선박들의 운항이 줄자 해상 무장세력들이 공격이 쉽고 많이 운항하는 소형 선박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우리 선원들이 납치됐던 서아프리카 베냉 앞바다는 전 세계 원양어선들이 몰리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꼽힌다.
또 코로나19로 생계를 위협받은 어민들이 해상 범죄에 빠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테네시 녹스빌대 브랜던 프린스 교수는 “아시아의 해적들은 해적질로 소득을 채우려는 현지 어민인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 같은 해적행위는 바다 위에서 벌어지는 일종의 무장강도 행각”이라고 말했다. 아시아와 같은 생계형 해적이 늘고 있는 또 다른 지역으로는 남아메리카 서부 해역이 꼽힌다. 조선 전문 매체 헬레닉 시핑 뉴스는 “최근 페루 해역 등에서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 지역 해적들은 소규모 어선을 공격해 선원들의 개인 물품이나 무선장비 등을 강탈하고 있다”고 전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7-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