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예멘 정부와 후티 반군이 일주일 예정으로 협상을 시작하는 스웨덴 스톡홀름 외곽 림보의 요하네스베르크 성 주변을 4일 경찰이 경계하고 있다.
림보 EPA 연합뉴스
외신들은 마틴 그리피스 유엔 특사가 이날 후티 반군 대표들을 대동하고 스톡홀름에 도착해 전날 먼저 도착한 예멘 정부 대표들과 스톡홀름으로부터 북쪽으로 50㎞ 떨어진 림보의 요하네스베르크 성에서 마주 앉는다고 전했다. 일주일 가량 실무 협상이 이어질 예정이다.
예멘 내전은 2015년 초 후티 반군이 이 나라의 서부 대부분을 점령해 압드라부 만수르 하디 대통령이 국외로 탈출하면서 시작됐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해 다른 아랍 7개국이 예멘 정부 재건을 지원하고, 이란 정부가 후티 반군을 편듦으로써 해결의 가닥을 잡기가 쉽지 않다.
이번 협상은 2016년 8월 쿠웨이트에서 100일 동안 대좌했지만 빈손으로 돌아선 이후 처음 열리는 것이다. 지난 9월에도 양측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대좌할 예정이었지만 후티 반군 측이 나타나지 않아 무산됐다.
언론들은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홍해 연안 도시 후다이다(호데이다)에 대한 다국적군의 포위를 풀어 아사 위기에 직면한 이들을 구해내는 게 이번 협상의 최우선 과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유엔은 2700만명이 갇혀 있으며 840만명이 아사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양측은 이번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포로 수백 명을 석방해 신뢰를 쌓았다. 그리피스 특사는 50명의 후티족 부상자를 이웃 오만으로 탈출시켜 치료받게 만든 것도 성과라면 성과였다.
유엔은 휴전은 요원하다고 보고, 이번 협상에서 앞으로 어떻게 협상할지에 대한 틀만 확보해도 좋다고 보고 있다. 한 소식통은 “몇 가지 이슈에 대해 양측을 함께 앉힌 것만 해도 의미있을 것이다. 다른 이슈에 대해선 그룹으로 나뉘어 토론해도 좋겠다”고 말했다.
사우디가 주도하는 다국적군이나 예멘 정부 모두 후티 반군이 후다이다를 떠나면 내전을 끝낼 수 있다고 믿고 있으나 반군측은 이란이 내전에 더욱 깊숙이 개입해야 한다고 매달리고 있다. 그리피스 특사는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우선 인도주의적 재앙부터 피하고 보자는 것이다. 양측 모두 겉으로는 공감하는 듯하지만 전쟁의 논리가 더 굳건하고 참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유엔에 따르면 지금까지 희생된 민간인 숫자만 6660명에 이르고 1만 560명이 다쳤다. 포격이나 총격 같은 전쟁 위험도 위험이지만 영양실조, 질병 등 예방할 수 있는 이유들로 수천명이 목숨을 잃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0월 콜레라 감염 사례가 매주 1만건씩 보고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유엔난민기구(UNHCR)은 예멘 인구의 75%에 해당하는 2220만명이 인도주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며 1780만명은 다음 끼니를 어떻게 때울지 모른다고 전했다. 1600만명은 안전한 식수와 기본적인 위생이 갖춰지지 않았으며 어린이 넷 중 한 명은 학교를 다니지 않고 200만명이 집 없이 떠돌고 있다고 참상을 전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