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정계가 보는 해법은
이스라엘에서 만난 전문가들은 대체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에 평화를 깃들게 하려면 팔레스타인을 주권국가로 인정하고 이스라엘과 공존하게 해야 한다는 ‘두 개의 국가 해법’에 공감했다. 일각에서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지배하는 가자지구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서안지구를 각각 분리하는 ‘세 개의 국가’가 현실적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누르 오데 PLO 집행위원은 전날 서안지구 라말라에서 “두 개의 국가 해법은 국제적 합의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무단으로 정착촌을 지으면서 분열이 심해졌다. 정착촌은 불법이자 전쟁 범죄”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불법적 점거를 용인하는 것은 다른 나라에 대한 폭력적 점령 또한 인정하는 것”이라며 PLO를 지지해 달라고 호소했다.
시오니스트(유대민족주의자)로 분류되는 이랴 사르칸스키 히브리대 명예교수는 18일 예루살렘에서 “가자 리더십(하마스)과 서안 리더십(PLO) 사이에 충돌이 있다. 팔레스타인 내부는 너무 복잡하다. 결코 하나의 나라가 될 수 없다. 세 개의 국가가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아프리카에 수많은 민족이 있지만, 모든 민족이 국가를 가진 것은 아니다. 가자지구가 어려움을 겪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몇몇 나라만큼은 아니다. 과장된 측면이 있다”며 팔레스타인 주권국가 건국에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2007년 재임 시 팔레스타인과 평화 협상을 했던 에후드 올메르트 전 이스라엘 총리는 20일 텔아비브에서 “두 개의 국가 해법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일각에서 말하는 세 개의 국가 해법은 국내 정치용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결국 하마스도 팔레스타인 통합을 바랄 것”이라면서 “다만 평화로 향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에도 불만이 생겨서는 안 된다. 때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할이 중요하다. 예루살렘으로 주이스라엘 미대사관을 옮긴 그의 행동은 팔레스타인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고 지적했다.
글 사진 예루살렘·라말라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8-11-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