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英 등 각국 첩보원 140여명 활개
“해외 첩보기관들의 과도한 활동으로 우리의 주권이 침해당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남아프리카공화국 비밀정보국(NIA)의 비밀문서를 입수한 알자지라방송과 공동 기획 보도를 이어 가고 있는 영국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NIA 내부에서 이런 푸념이 돌아다니고 있다고 전했다. 남아공이 미국, 영국, 중국 등 강대국 첩보기관의 각축장으로 거듭나면서 NIA가 남의 나라 일에 헛심만 쓰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입수한 NIA 서류에는 남아공 행정수도 프리토리아에서 활동 중인 140여명의 첩보원 명단이 있다. 이들의 국적은 미국, 영국, 인도, 세네갈 등 아주 다양했다. 그만큼 활약상도 많다.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핵프로그램 확산 방안을 한때 모색하기도 했고, 서방 첩보기관들은 자기 나름대로 원자로에 대한 정보를 구해 갔다. 단순 절도 사건으로 처리된 2007년 펠린다바 핵연구센터 침입 사건도 이 암투전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또 2009년쯤에는 이스라엘이 다이아몬드 등 천연자원에 대한 욕심 때문에 수단의 고립과 혼란을 부추기기도 했다. 전날 보도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란 핵위협을 과대 포장하고 있다고 폭로한 데 이은 것이다. 가디언은 “아파르트헤이트로 국제적 고립 상태에 있던 남아공은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와 특별한 관계를 지속했으나 최근엔 애매모호한 상태”라고 전했다.
남아공이 이렇게 ‘21세기 첩보전의 엘도라도’로 떠오르게 된 이유는 아프리카의 부상 때문이다.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세를 늘리자 서구도 맞서게 된 것이다. 여기에 남아공 정부의 정보 통제 수준이 높지 않다는 점도 작용했다. 상대국 첩보기관을 직접 상대하는 것보다 남아공을 통해 우회하는 방식이 더 손쉽다는 얘기다.
한편 2010년 11월 서울 주요20개국(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의 국가정보원이 쿠미 나이두 그린피스 사무총장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사실도 드러났다. 반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이끌었던 나이두는 남아공 출신의 세계적 인권운동가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2-2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