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신문 추계 올해 69만명 전망
작년보다 5.5% 줄어… ‘역대 최소치’
정부, 아동수당 등 저출생 지원 총력


올해 일본 출생아 수가 70만명을 밑돌 전망이다. 일본 정부의 예상 시점보다 14년 앞서 출생아 수 ‘70만명 선 붕괴’가 현실이 됐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하는 인구동태 통계의 지난 1~10월 속보치를 정부가 연간 출생아 추계에 사용하는 계산식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올해 일본의 출생아 수가 68만 7000명으로 추정된다고 25일 보도했다. 마이니치는 같은 날 딜로이트 그룹의 싱크탱크 추계를 인용해 출생아 수가 69만명에 그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지난해 일본 출생아 수 72만 7277명보다 5.5% 줄어든 것이다. 통계가 작성된 1899년 이래 역대 최소치다. 일본 출생아 수는 2022년 77만 747명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8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추계대로라면 2년 만에 70만명 선도 깨지게 된다. 80만명 선이 붕괴하기까지는 6년이 걸렸다.
일본의 저출생 속도는 정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 4월 일본 국립사회보장·인구문제연구소는 올해 출생아 수를 75만 5000명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당시 70만명 선은 2038년쯤 무너질 것으로 예측됐다. 일본 인구는 지난해 기준 1억 2400만명으로 매년 60만명씩 감소하고 있다. 다만 일본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 수)은 지난해 1.2명으로 올해 9월까지 0.76명에 그친 한국보다는 높다.
시마사와 마나부 관동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 사태 이후 출산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는 가정하에 기계적으로 계산하면 내년 65만명, 2026년 61만 1000명, 2027년 57만 1000명, 2028년 53만 2000명으로 출생아 수가 떨어진다”며 “지금의 속도로 저출생이 계속되면 공적 연금 제도를 비롯한 사회보장제도는 물론 일본의 경제·사회가 버틸 수 없다”고 경고했다.현재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를 저출생 추세를 반전시킬 마지막 기회로 보고 지원을 확충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아동 수당 확대, 육아 지원 등을 포함한 연 3조 6000억엔(약 33조 4000억원) 규모의 저출생 대책을 각의(국무회의)에서 결정했다.
2024-12-2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