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軍정보국 고위 관계자 주장
“상당수가 1970~80년대 생산된 포탄…
나머지도 수리·점검해야 하는 상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러시아 극동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2023.9.13 AFP 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국방부 산하 총정보국(HUR)의 바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북한이 러시아에 넘긴 포탄 중 상당수가 생산된 지 50년이 더 넘은 것이라고 밝혔다.
스키비츠키 부국장은 인테르팍스-우크라이나 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이미 북한으로부터 150만발의 탄약을 수입한 것으로 집계됐다”면서 “그러나 이 포탄들은 1970~1980년대 생산돼 그중 절반은 작동하지 않고 나머지는 수리나 점검이 필요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은) 낡은 물건을 내주고 국내 (포탄) 생산을 늘리면서 그 대가로 특정 기술, 특히 자체 방위산업 발전을 목표로 미사일과 잠수함 기술을 (러시아에)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일(현지시간) 러시아 공습 이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발견된 미사일 잔해. 외형이 북한제 KN-23과 미사일과 유사하다. 오른쪽은 지난해 8월 김 위원장이 전술미사일 생산공장 등 주요 군수공장들을 현지지도했을 때 포착된 KN-23. KN-23은 2018년 2월 북한군 열병식 때 처음 공개됐으며, 2019년 5월 첫 시험발사가 이뤄진 최신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이다. 러시아제 ‘이스칸데르’를 모방해 만들었지만 외형상 차이가 있다. 2024.1.5 바옌니 아스베다미뗄 텔레그램
앞서 키릴로 부다노우 HUR 국장도 지난달 북한이 현재 러시아의 최대 무기 공급국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부다노우 국장은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북한의 도움이 없었다면 러시아의 상황은 재앙적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5일 러시아 국영TV ‘로씨야1’ 방송분에는 러시아 병사가 북한제로 추정되는 152㎜ 포탄을 들고 있는 모습이 노출됐다. 2023.12.25 로씨야1
공식 발표에 포함되진 않았지만 김 위원장의 방러 당시 북한이 무기를 지원하는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위성 기술 등을 제공받기로 합의한 것이 분명하다고 더타임스는 분석했다.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현지 당국자가 북한제로 추정되는 미사일 잔해를 보여주고 있다. 2024.1.6 로이터 연합뉴스
이후 우크라이나 전장에서는 한글이 표기된 북한제 포탄과 KN-23, KN-24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잔해가 잇따라 발견됐다. 그러나 러시아와 북한은 무기 거래 사실을 일관되게 부인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