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0.5%P 인상 ‘빅스텝’ 시사
유가 13일 만에 110달러 돌파
스텔스 오미크론 등장도 변수


파월 의장은 21일(현지시간)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콘퍼런스 연설에서 “물가가 너무 높다”며 “(연준) 회의 때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이상 올려 더 공격적으로 움직이는 게 적절하다고 결론을 낸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올해 남은 여섯 번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마다 ‘베이비스텝’(0.25% 포인트 인상)으로 올해 연말 기준금리를 1.9%까지 올릴 전망인데, 더 나아가 단번에 0.5% 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의미다. 이에 신흥국의 글로벌 자금이 대거 빠져나가는 ‘긴축발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유가는 다시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배럴당 7.1%(7.42달러) 오른 112.12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8일 이후 13일 만에 110달러 선을 다시 넘었다.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과 더불어 예멘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시설을 공격하면서 유가를 끌어올렸다.
스텔스 오미크론의 등장은 또 다른 복병이다. 미국에서는 지난 1월 14일(80만 6795명) 이후 꾸준히 줄던 일일 확진자 수가 지난 18일부터 2만 9000명대에서 정체를 보이면서 재확산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ABC방송에 “승리를 선언할 때가 아니다. 이 바이러스는 전에도 우리를 속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2020년 11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던 뉴욕지수의 3대 지수는 이날 일제히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미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단체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은 이날 CEO들의 경제전망 지표가 지난 1분기에 114.6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지난해 3분기 114에서 4분기에 123.5로 크게 올랐지만 석 달 만에 재차 하락했다.
2022-03-2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