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에서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동성명 서명식 모습.2018.6.13. 연합뉴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유명 게임 스트리머이자 인플루언서인 아딘 로스와의 인터뷰에서 “(대통령 재임 당시) 먼저 만나고 싶다는 연락이 와서 김정은을 아주 잘 알게 됐고 그와 잘 지냈다”며 “많은 사람이 그가 리더가 아닐 수도 있다고 말하지만, 옆에서 보면 부하들이 기립해 집중하는 절대적인 존재”라고 했다.
그는 “싱가포르 회담 당시 20명을 정해 오찬을 하는데 가장 큰 기자회견이었고 파파라치(취재진)가 1000여명이나 몰린 광경은 처음 봤다”며 “우린 아주 잘 어울렸다”고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두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을 때 나눈 대화도 공개했다. 그는 김 위원장에게 “(북한은) 러시아, 중국, 한국 사이에 정말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훌륭한 부동산을 갖고 있다. 양쪽 바다 해안가에 아름다운 콘도가 올라가는 모습을 생각해 보라”고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는 “그(김정은)를 외부의 적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나 같은) 똑똑한 대통령이 있다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오히려 더 큰 문제는 내부에서 우리나라를 무너뜨리려 하는 민주당 사람들”이라고 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 대해서는 “김정은이 잘 모르고 싫어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일 김 위원장과 친분을 과시하고 있지만, 실상은 다르다. 2019년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것이 이를 대변하고 있다. 이유는 ‘영변 핵시설 폐기 플러스알파’와 ‘대북제재 해제’에 대해 북미 간의 인식 차에 있었다. 미국은 영변 핵시설에 이어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요구했지만, 북한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북한의 최고 존엄이 타국까지 가서 직접 적대국인 미국과 회담에 나섰음에도 빈손 귀국한 것으로 체면을 잃었다. 이 때문에 내부적으로 희생양이 필요했다. 김 위원장은 귀국 직후 ‘하노이 노딜’ 책임을 물어 북한 외무성 ‘북미 라인’을 숙청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지난 5일 평양에서 진행된 신형 전술 탄도미사일 발사대 인계 인수식 연설에서 “대화도 대결도 우리의 선택으로 될 수 있지만, 우리가 보다 철저히 준비돼 있어야 할 것은 대결이라는 것이 30여년간의 조미(북·미) 관계를 통해 내린 총화”라고 했다.
그는 “대화하든 대결하든 강력한 군사력 보유는 주권 국가가 한시도 놓치지 말고 또 단 한 걸음도 양보하지 말아야 할 의무이며 권리”라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