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5년물 LPR를 3.6%로, 일반 대출 기준인 1년물 LPR를 3.1%로 각각 유지한다고 발표한 20일 주민들이 베이징 시내의 한 은행 앞을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 EPA 연합뉴스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시장 예상대로 3개월 연속 동결했다. 최근 위안화 약세를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나올 대중국 압박 정책의 강도를 지켜보고 향후 대응 수위를 정하려는 취지도 담겨 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20일 주택담보대출 기준이 되는 5년물 LPR를 3.6%로, 일반 대출 기준인 1년물 LPR를 3.1%로 각각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중국에서는 매월 20개 주요 상업은행이 자체 자금 조달 비용과 위험 프리미엄 등을 고려한 금리를 은행 간 자금중개센터에 제출하는데, 인민은행은 이렇게 취합·정리된 LPR을 점검해 공지한다. 시중은행들에 LPR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한다.
중국은 미국이 본격적인 금리 인하를 단행한 지 한 달 뒤인 지난해 10월 5년물 LPR을 3.85%에서 3.6%로, 1년물 LPR을 3.35%에서 3.1%로 각각 인하한 뒤 지금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CNBC방송은 “중국의 역외 위안화는 지난해 11월 초 도널드 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3% 이상 하락했다”면서 “엄격하게 통제되는 역내 위안화도 16개월 만에 최저치에 가까워졌다”라고 했다. 대중국 강경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등장을 앞두고 중국 경기 부진 우려가 커지자 위안화 가치가 하락했다. 이 와중에 기준금리를 또 인하하면 미국과의 금리차가 더 확대돼 외화 이탈을 부추길 수 있다.
다만 중국 당국은 2011년 이래 유지한 ‘온건한 통화정책’ 기조를 올해부터 ‘적절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본격적인 ‘돈풀기’에 나서겠다는 신호다. 다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 뒤 본격적으로 나올 대중 견제책을 살펴본 뒤 금리 인하 수준 등을 결정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올해 3월 열리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