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여권을 소지한 사람들이 14일(현지시간) 이집트로 건너가는 유일한 생명줄인 라파 통로가 열리길 기다리고 있다. 이집트는 이중 국적자에 한해 국경을 개방한다고 밝혔지만 아직 통로는 열리지 않았다.
라파 UPI 연합뉴스
라파 UPI 연합뉴스
미국 CNN 방송과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공격을 계속하면서 지상 작전을 경고한 와중에도 이집트는 가자지구 라파 통로와 연결되는 자국 국경 개방을 거부하고 있다. NYT는 이집트가 팔레스타인계 미국인을 포함한 일부 이중국적자들의 통행을 허용하기로 했는데도 라파 국경은 여전히 폐쇄돼 있다고 전했다. 목격자들에 따르면 이집트 당국은 오히려 가자지구와의 국경을 따라 군사력을 증강 배치하고, 임시 시멘트 장벽까지 설치했다.
가자지구 남쪽의 접경 도시 라파는 팔레스타인이 통제하고 있다.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이스라엘이 국경 통로 두 곳을 폐쇄하고 가자지구를 완전히 봉쇄하면서 이곳은 팔레스타인인들을 밖으로 내보내거나 구호물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됐다.
이스라엘군은 지난 13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주민 230만명의 절반에 해당하는 110만명에게 24시간 안에 남쪽으로 떠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인원이 짧은 시한 안에 이주하는 것은 엄청난 인도주의적 재앙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집트 정부는 이스라엘이 ‘완전한 포위’의 일환으로 식량·연료·물 공급을 차단한 가자지구에 긴급 물자를 제공하기 위해 인도주의 통로를 개설할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가자 주민들이 자국으로 대거 입국하는 것에는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난민의 대규모 유입이 이미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해 있는 이집트에 상당한 정치·안보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하마스 전투원들이 난민들 틈에 끼어 이집트로 들어오거나 이들과 함께 무기가 유입돼 시나이 반도 정세가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작용했다.
동시에 대규모 가자 주민들에 대한 피난 허용이 이들의 영구 이주로 이어져 원래 정착지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2개 국가’를 수립한다는 아랍권 전체의 구상을 무산시킬 수 있다는 전망도 이집트 정부의 난민 허용을 꺼리게 하고 있다.
실제로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은 지난 12일 “(팔레스타인인들의 어려움에) 공감한다. 이 어려운 시기에 의료나 인도주의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면서도 “이집트의 지원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집트가 이미 수단, 시리아, 예멘, 리비아 출신 난민 900만명을 수용하고 있다고 상기시켰다.
엘시시 대통령은 또 “팔레스타인의 대의(2개 국가 창설 구상)는 모든 아랍인의 대의이며 팔레스타인인들은 자신들 땅에 머물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연계된 이집트 외교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모하메드 알오라비 전 외무장관도 WP 인터뷰를 통해 “팔레스타인인들을 시나이 반도에 반영구적으로 밀어 넣는 해결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시나이를 팔레스타인들의 ‘대안적인 집’으로 만드는 데 대해 얘기한다면 팔레스타인 문제는 끝장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도주의 단체들은 이집트가 많은 수의 팔레스타인 난민을 수용하는 정치적 결단을 내리더라도 시나이 반도 북부에 그들을 수용하기는 인프라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