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홈페이지 캡처
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아르메니아인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서 몇 개월 동안 긴장이 높아져 대테러 작전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은 국제적으로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로 인정되지만, 아르메니아인들이 많이 거주해 분쟁이 잦은 곳이다.
11명의 아제르바이잔 경찰과 민간인이 지뢰 폭발과 다른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공습 사이렌이 카라바흐의 주 도시에 울려 퍼진 것으로 보도됐다.
분쟁 지역의 방위군 간부들은 아제르바이잔 군이 “미사일과 박격포 공격 전체를 멈춘다는 합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카라바흐 대표들은 “대규모 군사 작전”이라고 반응했다.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는 나고르노카라바흐를 놓고 두 차례 전쟁을 벌였다. 소련이 붕괴된 뒤인 1990년대 초반과 2020년이다.
지난해 12월 이후 아제르바이잔은 아르메니아에서 나고르노카라바흐로 진입하는 유일한 통로인 라친 회랑(Lachin Corridor)을 봉쇄해 왔다.
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아르메니아 군이 군사시설에 대해 체계적인 폭격을 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영토에서 아르메니아 군을 몰아내기 위해 무장을 해제하는 “국지적인 대테러 활동”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 민간인이나 민간 시설을 겨냥한 것이 아니며, “합당한 군사 표적들만 초정밀 무기들을 이용해 섬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르메니아 국방부는 아제르바이잔이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 주장을 늘어놓는다고 반박했다. 카라바흐 지역의 주 도시라 할 수 있는 칸켄디(아르메니아는 스테파나커트라 부른다)에서 박격포 터지는 소리와 총성이 들려왔다. 이렇게 고립된 산악 지형에 아르메니아인 12만명 정도가 살고 있다.
아르메니아 관리들은 이날 오후 2시쯤 국경 상황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정부는 두 나라가 2020년 전쟁 휴전 조약을 존중하라고 주장했다. 유럽연합(EU)의 이 지역 특권대사 토이보 클라르는 “즉각 휴전할 긴급한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당시 6주의 전쟁 끝에 아제르바이잔은 1994년 이후 아르메니아가 차지하던 카라바흐의 주변부 영토를 수복했다. 지금도 러시아 평화유지군 3000명 가량이 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데 러시아 정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온통 정신이 팔려 이 지역을 등한시하고 있다.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최근 러시아가 “잠정적으로 이 지역을 떠나 있다”고 말했다.
아제르바이잔은 이 지역 주둔 병력을 늘리고 있다는 아르메니아 측의 주장을 부인하며 국제적십자위원회(ICRC)가 인도주의 구호 활동을 위해 이용하던 두 통로, 라친 회랑과 아그담 로드를 두 달간 폐쇄했다가 전날 다시 열었다. 이에 따라 ICRC는 두 통로를 통해 밀가루와 필수 의료품 수송을 재개했다. ICRC 유럽·중앙아시아 지역 대표인 아리안 바우어는 “인도적 지원에 의존하는 많은 사람이 필수품을 다시 받을 수 있게 돼 큰 안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아제르바이잔은 지난 7월 ICRC의 의료 차량을 이용한 휴대전화 밀수 행위가 적발돼 조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두 접근로를 막았다. ICRC는 그런 행위와 적십자 조직은 무관하다고 적극 해명했지만 소용 없었다. ICRC는 성명을 통해 “승인되지 않은 물품이 ICRC 소유 차량에서 발견된 적이 없으며 임시 계약을 맺은 현지 운전자 4명의 차량에서 나온 것으로 ICRC는 그런 행위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 뒤 ICRC는 아제르바이잔 당국과 접근로 운영 재개를 위해 협의해 왔다. ICRC는 협의 과정에서 정기적으로 인도적 지원 물품이 공급되지 않으면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의 식량난과 의료품 부족 사태가 심각해진다고 주장했다.
아리안 바우어 대표는 “접근로를 다시 열기로 한 아제르바이잔 당국과의 합의가 지속하기를 바란다”면서 “우리 목표는 중립성과 공정성, 독립성이라는 기본 원칙을 지키며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