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
연합뉴스가 4일 보도한 데 따르면 내무부가 발표한 ‘커플 내 폭력 사망’ 통계는 지난해 118명의 여성이 가정 폭력에 스러졌음을 보여준다. 2021년보다는 4명이 줄어들었지만, 피해자 수가 현저히 감소했던 2020년보다 16명 늘어난 것이라고 르파리지앵은 전했다. 가해자 대다수는 30세∼49세 사이의 프랑스 국적 남성으로, 범행 당시 무직으로 파악됐다.
신체적 폭력뿐 아니라 정신적 폭력이나 성폭력을 가한 경우도 많았다. 피해 여성 중 37명은 사망 전 이미 배우자나 동거인으로부터 폭력을 당한 적이 있으며, 이 중 24명은 경찰에 신고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재단의 안세실 마일페 회장은 “이 숫자는 수많은 여성 희생자를 구할 수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여성들이 가장 위험에 처하는 것은 경찰서를 나설 때”라고 말했다.
폭력의 주요 원인은 말다툼이나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별 통보, 질투 등이 꼽혔다. 여성 인권 전문 변호사인 안 부이용은 “이별은 여성에게 매우 위험한 순간”이라며 “남성들은 상대방이 자유를 누리는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데, 상대방을 소유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며 여성 살해 특유의 메커니즘”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성이 보내는 경고 신호 중 하나가 말로 “살해하겠다”고 협박하는 것이라며, “이것은 상대방의 생사 여탈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한다는 뜻으로,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부이용 변호사는 배우자에 의한 여성 살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선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그는 “우리는 위험한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데 너무 집중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실적으로, 현상의 원인에 초점을 맞추고 남성과 여성의 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한국여성의전화가 지난해 언론에 보도된 것만 집계한 결과, 남편이나 연인 등 친밀한 관계를 맺은 사람에게 살해된 한국 여성은 최소 68명, 살인미수 등으로 살아남은 여성은 최소 225명으로 나타났다. 물론 실제 숫자는 이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한국여성의전화는 지난 3월 이런 집계 결과를 내놓으며 정부에 친밀한 관계 내 폭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통계를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