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6일(현지시간) 11년 만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됐다.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치러진 유엔총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한국은 투표에 참여한 전체 192개 회원국 중 3분의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획득, 2024~2025년 임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했다.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지난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또한 유엔 가입 5년 만인 지난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하면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아태 지역 1개국, 아프리카 2개국, 중남미 1개국, 동유럽 1개국 등 총 5개국을 새로 뽑는 이번 선거에서 한국은 아태그룹 단독 후보로 나서 당선이 유력시됐다. 192개 회원국 중 3분의2인 128표 이상을 얻어야 선출이 가능했는데, 한국은 1차 투표에서 이를 훌쩍 뛰어넘는 180표를 얻었다.
아프리카 몫으로 알제리와 시에라리온, 중남미 가이아나도 무경합으로 각각 선출됐다. 동유럽 몫으로는 서방이 지원하는 슬로베니아와 러시아가 지원하는 벨라루스가 겨뤘으나, 슬로베니아가 압도적 표차로 당선됐다.
앞서 유엔에서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 북핵 문제로 서방 대 중국·러시아의 분열 구도가 심각했던 상황인 만큼 한국이 압도적 몰표를 받기 어렵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왔으나, 이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이로써 한국은 상임이사국인 미국, 2023~2024년도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함께 안보리에서 한미일 삼각 공조를 펼칠 수 있게 됐다.
유엔 안보리는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를 관장하며, 회원국에 대해 국제법적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기관이다.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10개국 등 15개국으로 구성된다.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미중 전략 경쟁, 그리고 중국, 러시아 등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맞물려 안보리 무용론까지 제기되는 상황이지만, 한국의 비상임이사국 진출은 이런 구도에서 한미일 공조를 한층 다질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편으로 안보리에 30년 새 세번째 진출한 것은 그동안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반영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치러진 유엔총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한국은 투표에 참여한 전체 192개 회원국 중 3분의2 이상인 180개국의 찬성표를 획득, 2024~2025년 임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진출했다.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지난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또한 유엔 가입 5년 만인 지난 1996~1997년 첫 비상임이사국으로 활약한 것까지 포함하면 이번이 세 번째 임기다.
아태 지역 1개국, 아프리카 2개국, 중남미 1개국, 동유럽 1개국 등 총 5개국을 새로 뽑는 이번 선거에서 한국은 아태그룹 단독 후보로 나서 당선이 유력시됐다. 192개 회원국 중 3분의2인 128표 이상을 얻어야 선출이 가능했는데, 한국은 1차 투표에서 이를 훌쩍 뛰어넘는 180표를 얻었다.
유엔총회,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 뉴욕 연합뉴스
앞서 유엔에서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 북핵 문제로 서방 대 중국·러시아의 분열 구도가 심각했던 상황인 만큼 한국이 압도적 몰표를 받기 어렵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왔으나, 이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이로써 한국은 상임이사국인 미국, 2023~2024년도 비상임이사국인 일본과 함께 안보리에서 한미일 삼각 공조를 펼칠 수 있게 됐다.
유엔 안보리는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를 관장하며, 회원국에 대해 국제법적 구속력을 갖는 유일한 기관이다.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10개국 등 15개국으로 구성된다.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미중 전략 경쟁, 그리고 중국, 러시아 등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맞물려 안보리 무용론까지 제기되는 상황이지만, 한국의 비상임이사국 진출은 이런 구도에서 한미일 공조를 한층 다질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편으로 안보리에 30년 새 세번째 진출한 것은 그동안 높아진 한국의 위상을 반영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