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나비 네트워크와 대학생 겨레하나 등 회원들이 21일 서울 종로구 한 유니클로 매장 앞에서 ‘위안부 모독’ 의혹이 불거진 광고로 논란을 불러온 유니클로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10.21
연합뉴스
연합뉴스
도쿄신문은 23일 서울 특파원 칼럼을 통해 “오히려 일본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업계 세계 최대인 삼성전자를 비롯해 반도체 생산에 지장이 생기지 않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실제로 한국 기업은 수출 규제 강화에 대응해 부품·소재 등의 일본 의존도를 줄이고 주요 3품목은 물론 그 밖의 다른 소재까지 일본 외 국가로부터 공급받았다. 또 시민들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반발해 자발적으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앞장섰다.
도쿄신문은 닛산자동차나 유니클로, 패션 브랜드 지유(GU)가 한국 철수를 결정한 것을 예로 들었다.
신문은 “일본 정부 대응에서 가장 문제는 수출관리를 강화한 배경에 전 징용공(징용 피해자) 소송이 있다는 점이다. 한국 정부의 대응을 촉구하려고 한 의도를 이해할 수 있지만, 경제의 ‘급소’를 찌르는 방식이 올바른 것이었는지 의문이 강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