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친한 후배가 당신과 술자리에서 나눴다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미투, 언제까지 계속할 거냐고, 이 정도면 된 거 아니냐고 하셨다지요.
남자들을 ‘잠재적 가해자’로 느끼게 하는, 그래서 불편하게 만드는 이야기를 얼마나 더 들어야 하는지. 격렬한 저항 없이 이뤄진 성관계를 위계·위력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해 봤자 법적으로 인정받기도 어려울 것이라든지. 원래 남자들의 성욕은 통제하기 어려운 것인데 이런 본능의 문제를 사회적 사건으로 제기하는 것이 타당한지. 우리나라는 장관의 30%가 여성일 만큼 성평등 사회인데 여자들은 뭘 더 달라는 것인지. 대략 이런 이야기를 나누셨다고 들었습니다.
‘남자들을 잠재적 가해자로 모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제가 미투 운동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을 대신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미투는 누군가를 괴롭히고 위협하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는 사실은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미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고발입니다. 따라서 사건에 관련 없는 그 누구도 두려움을 느낄 필요는 없으며 ‘잠재적 가해자’란 표현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위계 또는 위력에 의한 간음으로 인정받으려면 강력하게 거부의사를 표시했어야 한다는 말씀에 대해 조직 내 위계의 강고함과, 특히 최고 권력자의 힘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아시는 분이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오히려 제가 놀랐습니다. 나의 “노”(No)가 순식간에 직장을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느 누가 쉽게 또 그렇게 재빨리 거부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직장이란 공간에서 늘 부딪혀야 하는 사람들이 지닌 관계의 복잡함을 생각하면 강력한 거부 의사를 밝히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행위인가는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겁니다.
누군가는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누군가는 상사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짓눌려서 자신을 방어하지 못하는 것이 여성들이 경험하는 현실입니다. 현행법에서 위계·위력에 의한 간음을 인정받기 어렵다면 그것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법의 문제이지 피해자의 문제가 아닌 것입니다.
남성의 본능적 성욕이란 주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사회’라는 규범과 문화, 제도가 지배하는 시공간 속에서 태어나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인간의 욕망 자체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변형되는 것이라는, 그리 새로울 것도 없는 사회과학의 논리를 굳이 들먹일 필요는 없겠지요. 그런 주장은 한국사회의 남성 전체를 모욕하는 말입니다. 오히려 제 주변의 남성 중에는 권력형 성폭력의 야만성에 저만큼 분노하고 있는 분도 적지 않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라고 그분들이 되레 제게 묻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성평등에 대해서도 국내외의 수많은 통계를 들이대는 시간 낭비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최근 몇몇 은행과 공기업 채용에서 발생한 성차별이 이들 기업에서만 일어나고 있을까요. 부장님 회사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성비(性比)는 어떻습니까. 여성들은 의사결정권을 갖는 직책에 얼마나 올라가 있나요. 부장님께서는 가끔 ‘여자 부장 한두 명쯤은 상관없지만, 내 부서에 여자들이 많아지는 것은 곤란하다’는 말씀을 하셨지요. ‘주말이면 설거지 한두 번은 꼭 하는 페미니스트’라는 부장님 역시 여성에 대한 토크니즘(tokenism)을 가진 것 아닌가요. 소수집단을 배제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극소수의 인원을 선발한다는 이 논리는 토큰이 된 소수자들을 더 눈에 띄게 하여 차별의 표적이 되게 합니다. 여성의 경우 전통적인 성역할을 수행하라는 압력도 크고 성폭력의 위험도 커집니다.
미투가 남성들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 속에서 여성들이 느껴왔던 깊고 오래된 불편함에 비하면 남성들은 이제 막 불편해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불편함을 서로 나누고 그것을 성찰해서 바꿔 가자는 것이 미투의 목적입니다. 아직 우리는 여성과 남성이 편안하게 협력하는 방법을 모르니까요. 당신이 불편하게 느끼신다면, 미투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주변에서 아주 오랫동안 불편하게 일해 온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시길.
신경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남자들을 잠재적 가해자로 모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제가 미투 운동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을 대신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미투는 누군가를 괴롭히고 위협하는 데 목적이 있지 않다는 사실은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미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에 대한 협박이 아니라, 이미 일어난 사건에 대한 고발입니다. 따라서 사건에 관련 없는 그 누구도 두려움을 느낄 필요는 없으며 ‘잠재적 가해자’란 표현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위계 또는 위력에 의한 간음으로 인정받으려면 강력하게 거부의사를 표시했어야 한다는 말씀에 대해 조직 내 위계의 강고함과, 특히 최고 권력자의 힘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아시는 분이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오히려 제가 놀랐습니다. 나의 “노”(No)가 순식간에 직장을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느 누가 쉽게 또 그렇게 재빨리 거부 의사를 표현할 수 있을까요. 직장이란 공간에서 늘 부딪혀야 하는 사람들이 지닌 관계의 복잡함을 생각하면 강력한 거부 의사를 밝히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행위인가는 길게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겁니다.
누군가는 일자리를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누군가는 상사의 권위주의적 태도에 짓눌려서 자신을 방어하지 못하는 것이 여성들이 경험하는 현실입니다. 현행법에서 위계·위력에 의한 간음을 인정받기 어렵다면 그것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는 법의 문제이지 피해자의 문제가 아닌 것입니다.
남성의 본능적 성욕이란 주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간은 ‘사회’라는 규범과 문화, 제도가 지배하는 시공간 속에서 태어나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인간의 욕망 자체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변형되는 것이라는, 그리 새로울 것도 없는 사회과학의 논리를 굳이 들먹일 필요는 없겠지요. 그런 주장은 한국사회의 남성 전체를 모욕하는 말입니다. 오히려 제 주변의 남성 중에는 권력형 성폭력의 야만성에 저만큼 분노하고 있는 분도 적지 않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라고 그분들이 되레 제게 묻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의 성평등에 대해서도 국내외의 수많은 통계를 들이대는 시간 낭비를 할 이유는 없습니다. 최근 몇몇 은행과 공기업 채용에서 발생한 성차별이 이들 기업에서만 일어나고 있을까요. 부장님 회사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성비(性比)는 어떻습니까. 여성들은 의사결정권을 갖는 직책에 얼마나 올라가 있나요. 부장님께서는 가끔 ‘여자 부장 한두 명쯤은 상관없지만, 내 부서에 여자들이 많아지는 것은 곤란하다’는 말씀을 하셨지요. ‘주말이면 설거지 한두 번은 꼭 하는 페미니스트’라는 부장님 역시 여성에 대한 토크니즘(tokenism)을 가진 것 아닌가요. 소수집단을 배제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극소수의 인원을 선발한다는 이 논리는 토큰이 된 소수자들을 더 눈에 띄게 하여 차별의 표적이 되게 합니다. 여성의 경우 전통적인 성역할을 수행하라는 압력도 크고 성폭력의 위험도 커집니다.
미투가 남성들을 불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 속에서 여성들이 느껴왔던 깊고 오래된 불편함에 비하면 남성들은 이제 막 불편해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불편함을 서로 나누고 그것을 성찰해서 바꿔 가자는 것이 미투의 목적입니다. 아직 우리는 여성과 남성이 편안하게 협력하는 방법을 모르니까요. 당신이 불편하게 느끼신다면, 미투를 외면하지 마십시오. 당신의 주변에서 아주 오랫동안 불편하게 일해 온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시길.
2018-04-0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