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상 차의과학대 경영대학원장
“네, 알겠습니다. 저희 골프장 스코어카드는 이미 그렇게 인쇄되어 있어요.”
“그래야지. 그거야 인터내셔널 룰인데.”
그런데 함께 있던 외국인 동반자가 눈을 동그랗게 뜨고 “그런 룰이 어디 있냐”며 놀란다. 우리에게는 익숙한 대화지만 외국인들은 도저히 이해가 안 될 것이다.
OB가 나면 동반자가 “멀리건이야. 다시 쳐”, 혹은 당사자가 “하나만 다시 칠게”라고도 한다. 그렇게 라운드가 끝나면 “김 사장, 오늘은 92개 쳤네”, “이 사장, 오늘 88개야. 베스트 스코어 아니야”라고 하는 등 그날의 스코어가 관심거리다. 심지어 스코어를 좋게 적어 달라고 캐디에게 애교를 부리거나 스코어를 잘못 적었다고 윽박지르는 사람도 흔히 볼 수 있다.
상당히 못 친 것 같은데도 최종스코어를 보면 90대 초중반의 점수로 그다지 나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모든 스코어를 있는 룰대로 제대로 적용했다면 100개를 훌쩍 넘었을 것이다. 멀리건 없이 모두 정확하게 기록한다면 주말 골퍼가 90대 타를 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들어 해외 기업이나 투자자들이 국내에 많이 진출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대기업들의 주식을 상당 수준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지만 외국 투자자들이 우리나라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불신하는 경우가 있다. 기업들이 자금 조달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나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올리려는 유혹에 빠져 분식회계를 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거짓 정보는 길지 않은 시간 내에 알려지게 되고 또한 기업의 체질을 약화시켜 결국은 스스로 판 함정에 빠지게 된다.
육상 경기에서 1등이 결정되었다고 해서 2~3등의 기록을 줄인다든가, 농구 경기에서 많은 점수 차로 패한 것이 보기 싫다는 이유로 패한 팀의 점수를 올려 준다든가, 축구에서 3대1로 끝난 경기의 스코어를 2대0으로 조정하는 일이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우리는 유독 골프에서만은 스코어에 연연하는 경우가 많다. 스코어카드를 분식시키는 것이다.
골프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사람이 갑자기 골프를 끊었다는 경우가 가끔 있다. 또한 아예 끊지는 않았지만 골프에 대한 애정이 시들어 버린 애호가도 많다. 이런 사람들은 골프가 스포츠 중에서는 가장 어렵고 비경제적이란 말들을 한다. 스코어를 줄이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힘들게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도 그 수준을 유지하려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 날 갑자기 골프에 대한 흥미가 사라져 버린다는 것이다.
허비 스미스와 같은 전문가들은 골프에 대한 ‘흥미 상실’을 6가지 정도의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첫째,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지나치게 많은 시간의 투자. 둘째, 자기 스코어를 유지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좌절감 내지는 자존심의 상실. 셋째, 지나치게 치열한 경쟁의식. 넷째, 목표의 상실. 다섯째, 발전에 대한 욕구의 상실. 여섯째, 보상의 부족 등이다.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 정신적인 것에서 기인한다.
골프는 잘 치다가도 한순간 갑자기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적 훈련은 골프에 대한 기술보다 어떤 면에서는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바람직한 정신적 태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스코어를 분식한다거나, 모든 실수에 대해 자기 합리화를 위한 변명을 한다거나, 모든 상황에 대한 노여움·불평·불만을 표출하는 것은 스스로 게임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
주말에 가끔 치는 아마추어가 프로같이 치는 것은 불가능하다. 멋진 경기 결과를 원한다면 인내하고, 자신의 실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치는 골프 때문에 되레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면 이 얼마나 아이러니한 일인가!
주말 골퍼들이 재미있게 골프를 즐기면서 스코어를 조금 잘 적었다고 해서 그것을 기업의 분식회계와 비교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진한 화장을 한 스코어카드는 오히려 자만심과 나태로 이끌어 영원히 ‘백돌이’를 벗어나기 어렵게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2017-09-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