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평화와 노블레스 오블리주/손기웅 통일연구원장

[열린세상] 평화와 노블레스 오블리주/손기웅 통일연구원장

입력 2017-07-02 17:42
수정 2017-07-03 14: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손기웅 통일연구원장
손기웅 통일연구원장
공포와 회한의 잔상인 6월을 보냈다. 민족사에서 6·25 전쟁만큼 참혹한 비극은 없었다. 전쟁의 종말이 분단의 고착화가 되리라고 64년 전 여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다. 전쟁을 방지하지 못했다는 후회 속에서, 분단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자책 속에서 우리 모두는 이렇게 60여년을 보냈다.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언제까지 분단의 질곡 속에 머무를 것인가. “미래를 알고 싶으면 과거를 보라”는 영국 전 총리 윈스턴 처칠의 잠언처럼 어쩌면 해답은 지나간 역사에 있는 것이 아닐까.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방미했다가 어젯밤 귀국했다.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은 놀랍게도 버지니아주 미 해병 박물관의 ‘장진호 전투 기념비’ 방문이었다. 알려진 것처럼 장진호 전투는 6·25 전쟁 당시 함경남도 장진호에서 미 제1해병사단이 중공군 7개 사단에 포위돼 전멸 위기 속에서 2주 만에 탈출한 미 해병대 역사상 ‘가장 슬프고 처절한 전투’였다. 이어진 흥남 철수 피란민 행렬에는 문 대통령의 부모가 있었다.

6·25 전쟁은 대통령에게나 국가에게나 ‘난폭한 스승’이다. 대통령은 미군들의 숭고한 희생에 깊은 경의를 표했으며, 굳건한 양국 관계 속에서 한반도의 평화 구축을 강조했다. 잔혹한 전쟁의 역사에서 한·미 혈맹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의 평화를 주창한 것이다. 지도자의 역사와 정세 인식은 국가 전략 수립의 요체다. 북핵 국면의 위중함과 한·미 동맹의 역할을 고려할 때 기념비 앞 대통령의 굳게 다문 입술은 국민들에게 안보에 대한 안심을 넘어 평화에 대한 기대를 심어 주었다.

 평화를 향한 역사의 소중함은 비단 정치 지도자의 덕목만은 아닐 것이다. 어찌 보면 전쟁의 아픔을 극복하고 민족의 평화로운 미래를 염원하고자 하는 이 땅의 모든 국민들이 견지해야 할 가치다. 이런 의미에서 한 개인의 무소의 뿔 같은 노력은 놀라움을 넘어 경이롭기까지 하다. 서가에 꽂아 두었다가 지난 4월 통일의 현장인 독일 출장길에 열독한 ‘6·25 전쟁 1129일’이란 책 이야기다. 두 가지에 놀랐다. 저자가 학자가 아닌 기업인이라는 점과 그의 남다른 역사인식과 소명의식 때문이다. 부영그룹 이중근 회장 이야기다.

 이 회장은 4년 전부터 한민족의 과거에 대한 종합 역사서를 발간하고 있다. 조선 건국부터 6·25 전쟁을 포함한 한국 현대사까지 총 560여년, 20만여일에 대한 광범위하고 상세한 기록서다. 사세를 확장하고 이윤 추구에 전념해야 하는 기업인이 왜 진부한 역사에 천착했을까. 이 회장은 “역사는 모방의 연속이고 세월은 관용을 추구하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밝혔다.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토스가 페르시아 전쟁의 교훈에서 제국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했듯이 이 회장도 625 전쟁의 참혹한 기억과 성찰 속에서 한민족의 평화와 영화를 염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6·25 전쟁 1129일’은 특히 정전체제를 종식하고 평화협정을 통해 진정한 평화로 나아가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지침이 돼 줄 필독서다. 하루하루의 전황을 국내외적 상황과 연계해 기술함으로써 당시 정세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주고 있으며, 특히 휴전협상이 시작된 이후 쌍방의 의도와 전략에 대한 당시 상황과 전개 과정을 잘 그리고 있다. 향후 한반도의 평화협정을 위한 협상이 시작될 때 쌍방은 공히 2년에 걸쳐 씨름했던 휴전협정 체결 과정을 반드시 반추해 볼 것이고, 이 책이 학문적 그리고 정책적으로도 활용돼 그 가치를 더하게 될 것이다.

 노병에 대한 대통령의 허리 숙임에서, 사재를 털어 전쟁의 아픔을 기록했던 이 회장의 집념에서 어렵지만 반드시 추구해야만 할 한반도 평화의 숭고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도자는 분명한 비전과 탁월한 전략적 혜안으로 국민들과 함께 평화를 향한 노정에 앞장서야만 하며, 국민들은 인내를 가지고 평화와 번영에 대한 꿈을 포기하지 말아야 진정한 평화의 순간을 목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쟁과 평화’의 6월을 보내며, 또 산적한 어려움이 겹겹이 쌓인 7월을 맞으며 한반도 미래에 대한 밝은 기대를 다시 한번 품어 본다.

2017-07-0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