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에 있는 30만명의 엔지니어들은 출신도 다양하고 연봉도 천차만별이다. 이곳 엔지니어 평균 연봉은 15만 달러지만 그 두 배 이상을 받는 사람도 수두룩하다. 그들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모두 STE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수학) 분야에서 잘나가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개인뿐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을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단적으로 보여 주는 사례다.
미국은 2007년부터 초중등부터 대학 교육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STEM 교육 강화 정책을 펴고 있다. STEM 교육을 글로벌 리더십과 경쟁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보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 노동부 고용보고서는 앞으로 STEM 관련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예술, 패션, 바캉스와 함께 활기 잃은 경제를 떠올리게 되는 프랑스가 요즘 인공지능, 머신러닝,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분야에서 스타트업하기 좋은 나라로 변신 중인데, 그 배경에는 역시 프랑스의 탄탄한 엔지니어링과 수학 교육이 있다.
눈을 안으로 돌려 보자. 2016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지표는 과학·기술 인프라 등 우리의 과학·기술 관련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공계 박사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초중등 학생들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매번 최상위 성적을 유지한다. 그럼에도 흥미도에서는 수학(49위), 과학(46위) 모두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국판 실리콘밸리는 나오기 어렵다는 비관적인 시각이 많다.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를 제공할 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이 지속 하락하고 있는 우리에게 STEM 교육의 강화는 시급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게끔 하는 것이다. 직접 참여하고 스스로 깨닫고 사고하는 프로젝트 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의 여건을 만들어 줘야 가능하다. 현실에서 동떨어진, 지나치게 개념 위주의 주입식 수학·과학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전문가들은 학부모, 민관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통해 가급적 어린 나이(만 5세)부터 실생활과 연계된 STEM 공교육을 시작해 아이들이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라고 권고한다.
또한 교육 현장에 있는 선생님들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와 함께 학생들에게 더 많은 인턴십, 견습 기회가 제공돼야 할 것이다.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핀란드의 공교육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자율성 교육과 함께 교과 개발과 자기 개발에 집중한 수준 높은 교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민간 기업들의 역할도 중요하다. 우리 기업들도 다양한 과학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다. 다만 단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 접근하기보다는 향후 기업이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이라고 본다면 지원 프로그램의 질적, 양적 확대가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10살 안팎의 어린 세대)에게 STEM 분야 직업의 안정성, 만족도, 비전 등에 관해 바람직한 롤모델이 제시돼야 한다. 외국과 달리 이공계 출신의 사회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앞으로 STEM 분야에서 일자리가 가장 많이 생길 것임에도 미래가 불안정하다고 느끼는 이공계 학생들이 많다. 최근 어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이공계 출신 차관급 이상 고위직 비율이 겨우 7.9%다. 차기 정부가 인재의 다양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또 하나의 이유다. 대통령이 STEM 교육에 국정의 우선순위를 두고 국가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차기 대통령이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된 STEM 교육과 교육 개혁을 혁명에 가까운 시각과 열정을 가지고 나서야만 어느 정도의 진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옳은 방향을 정하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변화의 물결은 거세고 빠르다. 앞으로 3~5년이 정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 다행히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기본 토양은 갖춰진 셈이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글로벌 기업인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에 성공하려면 결국 시작도 끝도 교육”이라고 말했다. 교육 중에서도 ‘STEM 교육’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송경진 세계경제연구원장
눈을 안으로 돌려 보자. 2016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지표는 과학·기술 인프라 등 우리의 과학·기술 관련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공계 박사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하위권이다. 초중등 학생들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매번 최상위 성적을 유지한다. 그럼에도 흥미도에서는 수학(49위), 과학(46위) 모두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국판 실리콘밸리는 나오기 어렵다는 비관적인 시각이 많다. 미래 먹거리와 일자리를 제공할 과학·기술 분야의 경쟁력이 지속 하락하고 있는 우리에게 STEM 교육의 강화는 시급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게끔 하는 것이다. 직접 참여하고 스스로 깨닫고 사고하는 프로젝트 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의 여건을 만들어 줘야 가능하다. 현실에서 동떨어진, 지나치게 개념 위주의 주입식 수학·과학 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전문가들은 학부모, 민관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협력을 통해 가급적 어린 나이(만 5세)부터 실생활과 연계된 STEM 공교육을 시작해 아이들이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라고 권고한다.
또한 교육 현장에 있는 선생님들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와 함께 학생들에게 더 많은 인턴십, 견습 기회가 제공돼야 할 것이다. 전 세계의 부러움을 사고 있는 핀란드의 공교육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자율성 교육과 함께 교과 개발과 자기 개발에 집중한 수준 높은 교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민간 기업들의 역할도 중요하다. 우리 기업들도 다양한 과학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다. 다만 단순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 접근하기보다는 향후 기업이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이라고 본다면 지원 프로그램의 질적, 양적 확대가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10살 안팎의 어린 세대)에게 STEM 분야 직업의 안정성, 만족도, 비전 등에 관해 바람직한 롤모델이 제시돼야 한다. 외국과 달리 이공계 출신의 사회적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앞으로 STEM 분야에서 일자리가 가장 많이 생길 것임에도 미래가 불안정하다고 느끼는 이공계 학생들이 많다. 최근 어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이공계 출신 차관급 이상 고위직 비율이 겨우 7.9%다. 차기 정부가 인재의 다양성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또 하나의 이유다. 대통령이 STEM 교육에 국정의 우선순위를 두고 국가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
특히 차기 대통령이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된 STEM 교육과 교육 개혁을 혁명에 가까운 시각과 열정을 가지고 나서야만 어느 정도의 진전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옳은 방향을 정하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일이다.
변화의 물결은 거세고 빠르다. 앞으로 3~5년이 정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 다행히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기본 토양은 갖춰진 셈이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 글로벌 기업인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에 성공하려면 결국 시작도 끝도 교육”이라고 말했다. 교육 중에서도 ‘STEM 교육’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2017-03-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