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한류의 새 동력이다/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열린세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한류의 새 동력이다/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입력 2017-02-12 23:08
수정 2017-02-13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진달용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교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문화산업계에 등장한 것은 미국 할리우드의 발전과 일맥 상통한다. 1940년대 들어 할리우드 영화사들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영화 관람자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출판과 라디오, 텔레비전 소재들을 영화화하는 데 많은 공을 들였다.

최근 가장 성공한 할리우드 영화 중 하나인 ‘아바타’처럼 같은 스토리가 영화와 게임으로 동시에 만들어지고, 같은 소설이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 순차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가장 흔한 형태다.

일본의 경우 많은 영화와 비디오 게임, 애니메이션이 만화에 근거해 만들어지고 있다. 원소스 멀티유즈(OSMU) 방식과 멀티플랫폼 스토리텔링이라는 점에서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OSMU 전략이 성공한 원작 스토리를 매체 특성에 맞게 각색하는 방식이라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통일된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여 매체별로 새로운 스토리를 덧붙여 쓰거나 새로 쓰기 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국내 문화산업에 등장한 것도 상당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일부 소설과 만화가 영화나 방송 드라마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새롭게 관심을 받게 된 것은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웹툰 때문이다. 웹툰은 1997년부터 ‘광수생각’이라는 만화가 인터넷을 통해 인기를 얻게 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지고 있다. 물론 당시에는 아직 웹툰이라는 용어도 스마트폰도 없었다. 웹툰은 이후 ‘순정만화’ 등이 모바일을 통해 확산되면서 하나의 문화 형태로 자리잡게 된다. 영화나 방송에서 웹툰을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재료로 사용하게 된 것도 때를 같이한다.

초창기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2006년에 웹툰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아파트’는 관객 53만명을 모으는 데 그쳤다. 웹툰의 영화화가 본격적인 궤도로 들어선 것은 2010년 윤태호의 ‘이끼’가 성공하면서부터다. 특히 2013년 웹툰 원작의 ‘미생’이 방송 드라마로 큰 호응을 얻고, 2015년 영화 ‘내부자’ 역시 웹툰 원작을 바탕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웹툰에 기반한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이 잇따라 관객들의 호응을 얻게 되자 국내는 물론 외국 영화사와 방송사들도 웹툰의 가치를 눈여겨보고 있다. 네이버와 다음 등의 웹툰 포털이 잇따라 영어와 중국어 등의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미국 영화사들과 잇따라 판권 계약을 단행하고 있다. 일부 국내 영화사들이 아예 자체적으로 웹툰 제작을 시작하기도 했다. 웹툰과 영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웹툰을 바탕으로 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따라서 향후 한국 문화산업계와 한류의 방향성을 가늠할 새로운 동력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재 국내 영화계와 방송계는 신선한 소재를 찾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다. 웹툰은 기존의 소설이나 영화 시나리오에 비해 다양한 장르와 소재를 다루고 있는 데다 ‘미생’이나 ‘내부자’에서 보여 주듯 사회성을 반영하고 있다. ‘미생’이 회사 인턴의 애환을 적절하고 실감나게 묘사한 반면 ‘내부자’는 한국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부정부패의 민낯을 보여 주었다.

무엇보다 웹툰 원작 배경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스마트폰의 성장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세대 청소년들의 미래 문화라는 점에서 잠재력이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국내 문화산업과 한류가 현재보다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웹툰 기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발전이 절대적이다. 일부 한류 스타에게 의존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영화가 더이상 국내외적으로 반향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운 현실에서 양질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발전과 다각화, 그리고 이를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마련돼야 할 때다.
2017-02-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