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이들을 모아 사전은 문화를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창조,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과 생활양식의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이룩한 물질적·정신적 소득’이라고 정의한다. 그것이 좋든, 나쁘든 사람이 있는 곳에는 문화가 있다는 얘기다.
그 때문에 문화는 살아 있는 생명체다. 시대와 지역, 인종과 종교에 따라 다양하고, 서로 공존하면서 경쟁하고 진화한다. 그 자체가 새로운 문화의 창조이고 발전이다. 과거에서 시작한 전통조차도 현재와 만나고 미래로 나아간다. 어쩌면 문화란 운명적으로 공동체적이며 진보적인지도 모른다.
문화는 ‘감동’이 있어야 하고, 그 감동은 ‘공감’에서 나온다. 감동은 소통과 공감의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요란하고 크다고 이념이나 사상만으로 되는 것도 아니다. 작은 영화 한 편으로도 수억 명의 가슴을 울릴 수 있는 것이 바로 문화의 힘이다. 기쁨과 슬픔과 아름다움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고, 삶에 자부심을 느끼고, 현실을 깨닫고,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려는 이 모든 것이 문화가 주는 공감이다.
그래서 좋은 문화는 무엇보다 인간을 먼저 생각한다. 위대한 사상이나 문학, 예술작품도 결국 ‘인간’에 대한 존중과 사랑의 표현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독창성과 다양성, 자유로움부터 소중히 해야 한다. 문화는 그런 사람들에게서 나오고, 그런 사람들이 가꾼다.
문화에 감동이 넘치는 나라, 그 감동에 모든 국민이 공감하는 나라, 차별 없이 누구나 문화를 배우고 느끼고 즐기면서 소통하는 나라, 수많은 위기와 질곡 속에서도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이어온 자랑스러운 나라, 그 저력으로 창조적인 미래를 열어 가는 나라, 문화가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적 삶까지 풍요롭게 해 주는 나라. 우리가 꿈꾸는 대한민국이다. 누구도 그 꿈을 함부로 깨서는 안 된다. 우리의 삶이자 정신이고, 자랑이며, 양식이고, 미래이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어느 날 갑자기 ‘문화융성’을 국정 기조로 소리 높여 외칠 때만 해도 뜬금없기는 했지만, 정말 그런 대한민국을 만들려는 순정이 있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 소리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부정부패와 탐욕을 위한 위장과 사기극이었다는 사실, 문화융성은 고사하고 엉터리들을 앞세워 오히려 문화를 초토화시켰다는 사실에 국민은 절망하고 분노하고 있다.
그들에 의해 문화적 자존심까지 짓밟힌 지금 ‘문화’를 위해 어떤 것을 버리고, 무엇을 바로잡고, 되돌려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 ‘사람’부터다. 박근혜 정부의 인사를 보라. 문화의 본질과는 거리가 멀거나 문외한인 최순실의 하수인들이 전문 관료들을 내쫓고 장차관까지 차지하고, 전문성은 물론 도덕성까지 없는 인간들을 자기 식구라는 이유 하나로 요직에 앉혔으니 당연히 문화정책이 맹탕일 수밖에.
그나마 문화 현장만이라도 존중은 고사하고 그냥 내버려 두었으면 좋으련만,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블랙리스트’로 그 수많은 문화예술인의 손발까지 묶으려 했으니 문화융성이란 국정 기조 자체가 기만이다. 좋은 문화는 이념을 뛰어넘는다. 그리고 전통은 혁신을, 혁신은 전통을 소중히 해야 문화가 풍성해진다. 이를 무시하고 사람을 멋대로 쓰고, 마구잡이로 내몰아 버렸으니, 어디에서 문화가 나올 수 있겠는가.
문화가 곧 정치인 시대인 것은 맞다. 그렇다고 정치인이 문화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사람부터 찾고, 바꾸고, 받아들여야 한다. 사람이 없으면 문화도 없다.
2016-12-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