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말들에 대해서도 믿음이 사라진 지 오래다. 경찰청이나 검찰청의 범죄 통계를 살펴보아도 거짓말에 기댄 위증죄나 무고, 사기죄의 건수는 적지 않아 보인다. 거짓말로 사실을 덮는 행동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사회의 투명성이나 신뢰도는 크게 떨어지고 있다.
남을 속여 이득을 얻거나 피해를 야기하는 행동은 범죄가 될 수 있다. 그럼에도 거짓말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적지 않아 보인다. 거짓말을 안 하는 것보다 차라리 하는 행동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된다는 믿음이 보편화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거짓말은 가장 편한 방식으로 자신의 이익을 늘릴 수 있는 수단이다. 상대방 또는 대중을 대상으로 말로 무엇인가를 속이면 그뿐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거짓말은 개인의 사적 이익에 부합되는 속성이 있다. 반면 거짓말의 대상이 되는 이에게는 적지 않은 손해가 발생할 수 있는 제로섬 게임이다.
사회경제적 수준은 올라가는데 인간에 대한 믿음이나 신뢰 수준은 하락 추세다. 과도한 경쟁과 생존에 대한 불안 등의 이유로 인해 남을 믿지 못하는 현상이 일상이 된 것이다. 타인을 못 믿는 만큼 거짓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대화를 녹음하거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일도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감시와 불신이 팽배하고 사실과 허구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사회에서 한국의 미래 모습을 논하기는 어렵다.
거짓말의 대상은 지인에서부터 타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특히 거짓말의 핵심 대상은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 아는 사람들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는 개인의 사회적 자본이라 할 수 있는 관계망이 언제든 신기루와 같이 무너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그 결과 거짓말은 우리 공동체를 약화시킨다. 거짓말이 넘쳐나는 불신 사회에서는 공적 가치나 윤리적 기준보다 개인의 사적 이익이 우선되기 때문이다. 무턱대고 나만 살고 보면 된다는 이기적 행동이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판단 기준이 될 수도 있다.
거짓을 말하는 주체도 누구 하나 가릴 것 없이 다양하다. 그들은 사회적 지위나 부의 순서와는 관계없는 듯하다. 그래서 높은 사회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 기대되는 윤리 의식은 이미 급격하게 무너지고 있다. 한국 사회를 이끌고 있는 책임 있는 사람들의 거짓말들을 접하게 되면 그들 역시 자신만 살아남기 위해 우리를 속이는 한낱 미미한 존재일 뿐이다. 그래서 거짓말은 사회적 질병과도 같다. 마치 유행병처럼 거짓말을 덮기 위한 새로운 거짓말들이 늘어나고 이것이 타인에게 전염되며 우리 모두 이를 부끄럽지 않게 여기는 둔감의 일상이 전개되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 내재해 있는 거짓말에 대한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이제는 그 관행이 중단될 시점이 된 것 같다. 거짓말이 자연스럽게 통용되는 사회는 민주주의의 근간이 될 수 있는 공동체와 구성원들 간 신뢰를 약화시킨다. 거짓말로 인해 사회 구성원들 간의 신뢰보다는 불신이, 투명한 국가 운영보다는 불투명한 운영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더욱 커 보인다. 미국의 워터게이트 사건의 경우에도 불법 행동에 대한 사실을 덮고 은폐하기 위한 거짓말이 꼬리를 물다가 결국은 정권이 뒤바뀌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작은 거짓말 하나가 세상을 뒤흔들 수 있다.
거짓말을 통해 이익을 얻는 자가 게임에서 이기는 제도나 전통으로는 사회의 변화와 혁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우리 사회를 이끌고 있는 지도자나 전문가 계층이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 거짓말로 모든 행동을 뒤덮는 일들이 자연스러워진다면 그 사회는 더이상 기대할 것이 없는 부조리 사회가 될 것이다. 거짓말 하나하나가 국민의 신뢰를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국가 정책이나 미래 비전에 대한 의구심을 더 크게 키워 나갈지 모르기 때문이다. 사실과 양심의 언어가 필요한 때다.
2016-12-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