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그런데 목은 이색의 ‘독사’(讀史·역사를 읽고)를 읽으면 마치 고려 말이 아니라 지금 이 시대를 읊은 것처럼 생각될 정도이다. ‘간사한 계책을 하늘도 때론 돕는지/충성스러운 말이 때때로 용납되지 못하네’(奸計天或相/忠言時不容) 충언이 용납되지 못하는 것은 정권이나 왕조가 망할 징조이다. 이 정권 사전에 ‘충언’이란 단어는 없다는 것을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나라는 위태로운데 사당의 깃발만 나부끼고/임금은 허수아비와 같네’(國危私黨偏/君弱偶人同) 사당(私黨)은 공당(公黨)의 반대말로, 공익이나 국가의 이익이 아니라 개인이나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위하는 무리를 뜻한다. ‘친박’이라는 용어 자체가 공당보다는 사당에 가까운데, 이런 용어로 규정되어도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몰려다닌다. ‘북핵·안보·민생’을 전유물처럼 사용하더니 자신들에게 위기가 닥치자마자 ‘북핵·안보·민생’은 어디에 버렸는지 찾을 수가 없다. ‘임금은 허수아비와 같네’라는 시구는 최순실이 권력서열 1위인 지금의 상황을 말하는 것 같다.
‘변옥과 연석이 뒤섞여 있고/산묘가 간송에 그늘을 드리웠네’(卞玉參燕石/山苗蔭澗松) 변옥은 초(楚)나라 변화(卞和)의 화씨벽(和氏璧)으로 천하의 보물이다. 반면 연석(燕石)은 하북성 연산(燕山)산맥의 돌로 검붉은색 때문에 옥처럼 보이지만 돌에 불과하다. 연산산맥은 바위로 된 양산(陽山)산맥인데, 그 끝자락에 한나라 낙랑군 수성현에 있다는 갈석산도 있다. 이색은 그나마 고려 조정에 변옥과 연석이 뒤섞여 있다고 한탄했지만 현재 이 정권에 변옥이 있다고 볼 사람이 있겠는가? 이색이 살아 있다면 ‘보이는 건 모두 다 연석뿐이네’(所見皆燕石)라고 읊었을 것이다. 간송은 골짜기 아래 큰 소나무를 뜻하고 산묘는 산꼭대기의 작은 묘목을 뜻한다.
서진(西晋) 때 좌사(左思:250~305)가 지은 ‘영사팔수’(詠史八首)라는 시가 있는데 그 둘째 수에, ‘골짜기 아래에는 울창한 소나무가 있고, 산 위에는 가지 더부룩한 묘목이 서 있는데, 지름 한 치짜리 저 묘목이, 백 척 소나무에 그늘을 드리우네’(鬱鬱澗底松 離離山上苗 以彼徑寸莖 蔭此百尺條)라는 시구를 응용한 말이다. 지름 한 치짜리 소인배들이 권력을 잡고 울창한 군자들을 억압하는 작금의 정국과 일치한다.
‘자연스레 흐르는 눈물을 닦아도 눈물이 나와/□를 막고 푸른 하늘 바라보네’(?然?淸淚/掩□向晴空·원문에 한 글자 누락) 목은 이색은 고려가 망할 것을 알았기에 눈물을 주체 못하면서 하늘을 바라보았다. 포은 정몽주가 뒤늦게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라고 노래했어도 왕조의 멸망을 막을 길이 없었고, 야은 길재(吉再:1353~1419)는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없네/어즈버 태평연월이 꿈이런가 하노라’라고 망한 왕조의 폐허를 슬퍼해야 했다. 당나라 시성 두보(杜甫)가 ‘춘망’(春望)에서 ‘나라는 무너졌어도 산하는 그대로이고, 성에 봄이 오니 초목은 우거졌네’(國破山河在/城春草木深)라고 노래한 것과 짝하는 시이다. 고려 왕조의 존속을 희구했던 삼은은 왕조에 가장 큰 위협은 역성혁명파가 아니라 망국의 목전에서도 자신들의 이익만 챙겼던 구가세족(舊家勢族)들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원나라를 뒷배로 정권을 잡은 구가세족들은 이성이 통하는 집단이 아니었다. 이 틈에 역성혁명파는 혁명적 토지개혁으로 민심을 잡아 고려를 멸망시키고 새 왕조를 개창했다. 세상 걱정, 나라 걱정은 늘 삼은의 몫이고, 세상 이익은 늘 구가세족들의 몫인 세상은 지금도 계속된다. 이제는 이런 세상을 접고, 새 세상을 열 때가 되었다는 것이 촛불민심의 의미일 것이다.
2016-12-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