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의 하만의 인수합병(M&A)은 신선한 충격으로 와 닿는다. 먼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글로벌 인수합병이라는 점과 나아가 그 분야가 무인자동차 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자동차전장(부품) 산업이라는 점 때문이다.
하만은 인포테인먼트 분야와 텔레매틱스 분야의 세계적 기업이다. 또한 이번 합병은 일반 국민에게는 다소 익숙하지 않은 ‘역삼각합병’의 형태여서 새로움을 더하고 있다.
이 합병은 주로 브랜드 가치가 높거나 혁신 지식재산 보유 기업의 경우 이를 유지하기 위한 합병 형태이다. 물론 이번 합병이 과연 어느 정도의 시너지 효과 또는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아무도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간 글로벌 합병에 대해 다소 소극적인 국내 기업 풍토하에서 이번 합병은 적어도 신선한 자극제가 될 수는 있다. 특히 혁신 기술을 습득하고 나아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조성한다는 등의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미래 무인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은 가히 혁신적이다. 무인자동차 시대가 열리게 되면 자동차의 개념이 기존 고정관념에서 완전히 탈바꿈하기 때문이다. 즉 무인자동차 시대에는 자동차가 부동산, 사무실, 집, 컴퓨터, 움직이는 가상세계 등 모든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향후 정보와 오락을 결합한 인포테인먼트라는 새로운 용어도 창출됐고 나아가 원거리, 계측장치 및 전자 등을 융합한 텔레매틱스라는 신조어도 양산되고 있다.
그런데 무인자동차가 이들 미래 유망산업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추적인 구심점을 차지하게 된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즉 무인자동차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지위를 점할 뿐만 아니라 인포테인먼트나 텔레매틱스 등의 주된 활동 무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또는 대기업에서도 무인자동차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 분야의 특성상 혁신 기술의 개발 또는 선점이야말로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이번 빅딜을 통해 전통적이고 폐쇄적인 자체 기술 개발이 아니라 인수합병을 통해 이미 검증받은 기술을 취득하는 새로운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빅딜이 국내 기업 문화에 시사하는 바는 실로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 의미의 자동차산업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해 국제 경쟁력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미래 무인자동차 산업의 방향성이다.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자동차 개념이 아닌 현실세계 공간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기동력을 가진 컴퓨터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무인자동차 산업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관련 산업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게 된다. 새롭게 미래 방향성과 시각을 재정립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혹자는 휴대전화에 이어 미래에 가장 유망한 분야가 자동차 관련 산업이라고 주장한다. 이들 분야는 좀더 도전적이며 미래지향적이고 기술집약적이며 특히 지식재산 친화적인 면이 있어서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의 멋진 활약상이 기대된다.
따라서 이미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국내 자동차 업계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혁신 기술 개발 및 세계화 전략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그리고 자동차 관련 중소기업이나 지식재산벤처 기업 역시 좀더 공격적으로 도전하고 나아가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은 너무나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개별 기업 측면에서도 글로벌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혁신 기술 개발의 선점에서도 전통적인 방안보다는 좀더 혁신적으로 이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오픈 이노베이션 또는 글로벌 인수합병 등이 좋은 예가 된다. 글로벌 합병 전략 등은 혁신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부가해 글로벌 네트워크 또는 글로벌 시장 개척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김승열 변호사·카이스트 겸직교수
이 합병은 주로 브랜드 가치가 높거나 혁신 지식재산 보유 기업의 경우 이를 유지하기 위한 합병 형태이다. 물론 이번 합병이 과연 어느 정도의 시너지 효과 또는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아무도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그간 글로벌 합병에 대해 다소 소극적인 국내 기업 풍토하에서 이번 합병은 적어도 신선한 자극제가 될 수는 있다. 특히 혁신 기술을 습득하고 나아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조성한다는 등의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미래 무인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은 가히 혁신적이다. 무인자동차 시대가 열리게 되면 자동차의 개념이 기존 고정관념에서 완전히 탈바꿈하기 때문이다. 즉 무인자동차 시대에는 자동차가 부동산, 사무실, 집, 컴퓨터, 움직이는 가상세계 등 모든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향후 정보와 오락을 결합한 인포테인먼트라는 새로운 용어도 창출됐고 나아가 원거리, 계측장치 및 전자 등을 융합한 텔레매틱스라는 신조어도 양산되고 있다.
그런데 무인자동차가 이들 미래 유망산업의 가장 핵심적이고 중추적인 구심점을 차지하게 된다는 점에 특히 주목해야 한다. 즉 무인자동차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핵심적인 지위를 점할 뿐만 아니라 인포테인먼트나 텔레매틱스 등의 주된 활동 무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벤처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또는 대기업에서도 무인자동차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 분야의 특성상 혁신 기술의 개발 또는 선점이야말로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그런데 이번 빅딜을 통해 전통적이고 폐쇄적인 자체 기술 개발이 아니라 인수합병을 통해 이미 검증받은 기술을 취득하는 새로운 전략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빅딜이 국내 기업 문화에 시사하는 바는 실로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 의미의 자동차산업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해 국제 경쟁력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미래 무인자동차 산업의 방향성이다.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자동차 개념이 아닌 현실세계 공간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기동력을 가진 컴퓨터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무인자동차 산업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관련 산업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게 된다. 새롭게 미래 방향성과 시각을 재정립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혹자는 휴대전화에 이어 미래에 가장 유망한 분야가 자동차 관련 산업이라고 주장한다. 이들 분야는 좀더 도전적이며 미래지향적이고 기술집약적이며 특히 지식재산 친화적인 면이 있어서 국내 스타트업 기업들의 멋진 활약상이 기대된다.
따라서 이미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국내 자동차 업계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혁신 기술 개발 및 세계화 전략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그리고 자동차 관련 중소기업이나 지식재산벤처 기업 역시 좀더 공격적으로 도전하고 나아가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은 너무나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개별 기업 측면에서도 글로벌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혁신 기술 개발의 선점에서도 전통적인 방안보다는 좀더 혁신적으로 이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오픈 이노베이션 또는 글로벌 인수합병 등이 좋은 예가 된다. 글로벌 합병 전략 등은 혁신 기술 습득뿐만 아니라 부가해 글로벌 네트워크 또는 글로벌 시장 개척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2016-11-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