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끝까지 잘하려면/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열린세상] 끝까지 잘하려면/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입력 2016-10-31 23:06
수정 2016-11-01 0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연산군 시절 여러 대의 임금을 충성으로 모신 김처선(金處善)이라는 환관이 있었다. 연산군이 왕이 돼 방탕하게 굴자 김처선이 바른말로 충고했다. 그러자 연산군은 그의 다리와 혀를 잘라 죽이고 조정이든 민간이든 처선이란 두 글자를 쓰지 못하도록 했다. 봉화의 닭실마을을 개척한 일로도 유명한 충재 권벌은 바로 그해 문관을 뽑던 과거인 문과에 급제했으나 곧바로 취소됐다. 하필이면 그가 제출한 과거시험 답안지에 ‘처’(處) 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폭정을 거듭하던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중종은 왕이 된 다음해인 1507년 별시 문과에 상당히 긴 문제를 하나 낸다. “처음에는 착하지 않은 이가 없으나 끝까지 착한 이는 적다”는 ‘시경’ ‘대아’(大雅)의 시를 인용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이 과거시험 문제를 짧게 정리하면 이렇다.

“비록 처음 시작은 잘했더라도 반드시 끝을 잘 맺는 것은 아니니 그 까닭은 무엇인가? 나는 덕이 없지만 조상의 큰 업을 물려받아 날이 밝기도 전에 일어나 옷을 차려입고 해가 진 뒤에 저녁을 먹고도 부지런히 정치를 하려고 온갖 노력을 다하고 있지만 끝마침을 잘하지 못할까 걱정이다. 어떻게 하면 시작은 좋았으나 끝에 많은 문제를 낳은 당 태종이나 현종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하(夏)·은(殷)·주(周) 삼대의 훌륭한 왕처럼 정치를 잘할 수 있겠는가?”

이 문제에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답한 이가 있었다. “마음은 온갖 조화의 근본이고, 도는 바로 정치를 시행하는 도구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마음을 보존해 근본을 세우고 도를 응용해 정치에 잘 이용한다면, 시작을 잘하고 끝을 잘 맺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습니까? 맹자는 ‘탕왕과 무왕은 몸으로 실천하셨다’라고 말했고, 공자는 ‘처음과 끝이 한결같은 이는 오직 성인뿐이다’라고 했습니다. 전하께서도 한결같은 마음을 지니시기 바랍니다. 당 태종과 현종이 끝마무리를 잘하지 못한 것 역시 그런 마음가짐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서경’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정치에 일관성이 없으면 무슨 일을 하더라도 흉하다.’ 또한 이런 말도 전해집니다. ‘흰 실은 물들이기 나름이다.’ 저는 순임금이 우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명령하였다고 들었습니다. ‘개인적인 욕망을 따르는 인심은 위태롭기만 하고, 보편적인 도리를 따르는 마음인 도심(道心)은 묻히거나 작아서 알기 어렵기만 하다. 정성스럽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중도를 잡아야 한다.’ 인심은 사적인 것을 생각하기는 쉬워도 공적인 것을 생각하기는 어렵고, 도심은 밝히기는 어려워도 어두워지기는 쉽습니다. ‘서경’에 총명하고 지혜로운 성인이라도 생각하지 않으면 바보가 되고, 바보라도 생각할 수 있으면 성인에 이를 수 있다고 했습니다. 생각의 신중함 여부에 성인과 바보의 싹이 보이는 것입니다. 한 나라는 한 사람을 주인으로 삼고, 한 사람은 한마음을 주인으로 삼습니다. 규모로 말하면 나라는 지극히 크고 사람은 지극히 작으니 작은 것이 큰 것을 부릴 수 없을 듯합니다. 그러나 이치로 말하면 나라가 비록 크지만 군주의 마음도 큽니다. 큰 것이 큰 것을 움직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군주는 마음을 크게 가져야 하는 까닭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마음이 싹트기 전에 간직하고 기르며 싹텄을 때 반성하고 살펴서 사물과 몸에 예속되지 말아야 합니다. 쉬울 때는 어려움을 생각하며, 작은 일에서 시작해 큰일을 이루어야 합니다. 시작할 때는 마칠 때를 생각하고, 시작을 잘했으면 끝마무리도 잘해야 합니다.”

‘서경’, ‘맹자’, ‘상서’, ‘논어’, ‘빈퇴록’(賓退錄), ‘대대례’(大戴禮) 등 여섯 권의 책에서 필요한 문구를 인용하며 왕의 질문에 답한 이 글에는 세상과 정치를 보는 생각이 잘 드러나 있다.

오늘의 우리도 귀 기울여 볼 만한 이 답안을 작성한 이는 그로부터 3년 전 연산군 시절에 황당하게 합격이 취소됐던 충재 권벌이다. 충재는 이 답안으로 병과 2등으로 급제했다.

중종보다 10살 위인 충재는 연산군 치하에서 1498년 무오사화와 1504년 갑자사화를 겪으며 좋은 정치란 무엇인가를 계속 고민했기에 이같이 훌륭한 답을 쓸 수 있었을 것이다.
2016-11-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