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
국가 차원에서 첨단 기술 분야의 최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함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이번 리우올림픽은 우리에게 한 가지 교훈을 주었다. 소수 엘리트 선수를 선발하고 훈련시키는 시스템만으로는 체육 강국이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체육을 진흥하고 선수의 저변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교육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생 하나하나가 창의적 인재가 돼야 하고,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을 길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수업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강의 중심 수업은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르기보다 주어진 지식을 이해하고 숙달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지금의 체제에서는 각자가 알아서 열심히 공부하면 되지만, 졸업 후 만나는 세상은 다양한 사람들과 협력해서 일하길 요구한다. 미리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우지 않으면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무엇보다 수동적 학습 환경에서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자기 주도성과 도전 정신을 기르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최근 팀 프로젝트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필자가 재직 중인 대학에서도 이를 진행하고 있고, 대학 연구팀은 놀라운 교육적 성과를 확인했다. 우선 프로젝트 학습은 자신이 탐구할 문제를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수업과 다르다. 학생들은 문제 찾기가 무엇보다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오랫동안 주어진 문제 풀기에만 길들어 온 탓이다. 문제가 확정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교수 외에 관련 전문가를 만나서 의견을 구하는 경험을 쌓는다. 이 과정에서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을 키우고, 자기 주도적 학습자로 거듭난다. 기존의 지식과 당면한 문제를 연결하는 딥러닝이 이루어지고, 지식의 융합이 주는 가치도 체득한다. 또한 연구팀은 프로젝트 학습이 팀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때 교육 효과가 커짐을 발견했다. 학생들은 팀 내에서 갈등을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다양성과 개방성이 중요함을 깨달았다고 한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비판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프로젝트 학습은 동료에게 결과물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아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지며 마무리된다. 동료의 발표를 듣고 평가해 보는 경험도 중요하다. 자신이 걸어온 과정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학습은 일반 수업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고비용 교육 체제다. 교사의 역할도 지식 전달자에서 교육환경 조성자, 지식 안내자, 학습 조력자로 바뀌어야 한다. 치밀한 수업 계획과 학습 관리가 필수적이다. 일선 학교에서 쉽게 도입되기 어려운 이유다.
그러나 수업의 개선이야말로 교육을 혁신하는 가장 강력하고 직접적인 수단임은 틀림없다. 모든 수업을 한꺼번에 바꿀 필요는 없다.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되는 분야부터 점진적으로 개선하면 된다. 나아가 자유학기제, 학생부 종합전형과 연계되면 교육과정과 평가의 혁신으로도 이어진다. 진정한 교육 혁신은 수업의 변화가 출발점이다.
2016-08-2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