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유화 중국증권행정연구원장
중국 자본의 해외기업 인수는 첫째, 경기하락과 경기회복 둔화로 해외 많은 양질의 기업 자산이 저평가되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적은 자금으로 기술력과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절호의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둘째, 현재는 기술혁명 4.0 시대로의 진입 초기 단계로 새로운 업태(業態)와 신기술·신산업이 속출하는 시기다. 글로벌 500대 기업이라도 신영역에서는 아직 독점 지위를 갖고 있지 못했을뿐더러 기업 순위 자체도 신생 산업에서 우위를 차지하느냐에 따라 급속하게 바뀌는 시대다. 세계 1000개 기업 순위는 과거 10년간 712곳이 교체됐다. 중국 기업들은 신생 산업에 대한 M&A를 통해 선도 지위를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국제화에 익숙한 중국의 대형 기업들은 해외시장에서 M&A를 잘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했다. 동시에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창의는 기업들에 지금껏 생각지도 않던 중앙아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영역에서 자원을 배분할 수 있는 사고방식과 글로벌적인 시각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줬다. 특히 원자재와 기술 확보를 위한 중국 정부의 대외 투자촉진 정책은 국내보다 유리한 대출조건 및 정부 펀드 투자 등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중국 지방정부 역시 선진국들과의 공동투자 합작플랫폼을 구축해 중국 기업과 개인들의 해외 투자를 위한 편리한 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셋째, 세계 각국 기업들의 중국 기업에 대한 혐오와 배척 및 편견은 중국 기업들의 선진화와 중국 내수시장에 따른 기대로 많이 약화됐다. 선진국 정부나 기업은 중국으로부터의 직접 투자를 원칙적으로 희망하고 있다. 국가자본주의 관점에서 국유기업에 의한 투자는 경계 대상이고, 중국 기업에 의한 M&A 방식은 심리적 저항이 크다. 하지만 노조 포용, 현지 문화 존중, 경영권 일임은 중국 자본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있다.
미국은 중국 기업의 국제화 걸음을 위한 우선 선호 지역이다. 실리콘밸리는 미국 혁신과 벤처 창업의 대명사다. 그러나 중국 자본은 실리콘밸리보다 실리콘밸리 밖에 있는 혁신 기업들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중국과 미국 간의 혁신적인 과학기술 협력 모델이 형성되고 있다. 중국 자본의 미국 핵심 기술 기업의 초기 단계에 대한 지분투자로 기술이나 브랜드를 획득하고 이를 중국 내수시장과 중국 제조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이후 중국 시장 및 세계 시장에서의 판매 확대로 세계 시장을 선도해 나가는 것이다.
미국의 경우 1981년 전후까지만 해도 2만 5000명의 인력을 보유한 대기업이 전체 연구개발(R&D)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를 넘었다. 1000명 이하의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5%도 되지 않았다. 그러나 2000년부터 500명 이하 소기업의 R&D 비용이 전체 미국 기술개발 비용의 20%를 넘어선 반면 대기업의 비중은 35% 이하로 떨어졌다. 세계 선도 핵심 기술력을 보유한 미국 기업에 대한 중국 자본의 투자는 ‘미국 기술’과 ‘중국 시장 및 중국 제조’의 완벽한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중소기업은 미국 대기업과 달리 중국 자본에 대해 개방적이고 환영하고 있다.
중국 기업은 미국에 대한 투자 강도를 높이고 있으며, 투자 영역은 산업별 가치사슬 전반에 분포돼 있다. 2015년 중국의 대미 투자는 171건을 기록해 150억 달러에 달했다. 올해 1분기는 300억 달러가 투자돼 이미 지난해 1년 기록을 초과했다. 2015년 중국의 대미 투자로 1만 3000개 일자리가 새로 생겼다. 개인과 가계에 대한 투자를 포함하지 않은 수치다. 미국도 중국 기업의 국제화 전략을 주목하고 있다.
2016-06-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