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단재(丹齋) 신채호는 ‘조선상고사’에서 “중국과 조선은 고대 동아시아의 양대 세력이니 만나면 어찌 충돌이 없으랴. 만일 충돌이 없는 때라 하면 반드시 피차 내부의 분열과 불안이 있어 각각 그 내부의 통일에 바쁜 때일 것이다”라고 갈파했다. 중국과 한국은 고대 동아시아의 양대 세력으로서 내부가 분열돼 각각 통일에 바쁠 때면 모르겠지만 양쪽에 통일제국이 들어서면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위만조선은 한(漢)나라와 맞섰다가 1년이 넘는 치열한 전쟁 끝에 내부 분열로 망했고, 북방의 천자제국 고구려는 수·당과 한 치의 양보도 없이 맞서다가 끝내 멸망하고 말았다.
그럼 중원에도 통일제국이 들어서고 한국에도 통일제국이 들어섰지만 서로 충돌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것이 바로 조선뿐만 아니라 고려도 선택했던 조공외교(朝貢外交)라는 것이다. 조공외교는 중국의 우위를 인정하면서 자국의 안정도 꾀하는 동아시아 안정유지 시스템이었다. ‘조공’이라는 어감 때문에 조공국에서 일방적으로 갖다 바친 것으로 알지만 사실은 다르다. 조공의 원칙은 ‘조공이 있으면 사여(賜與)가 있다’는 것이다. 조공국에서 조공을 바치면 사대국에서는 사여를 내리는데 사여품이 조공품보다 많은 것이 원칙이었다. 이는 상국이자 황제국으로서 체면 유지 비용이기도 했다.
조선 건국 초기인 태종 때의 일이다. 당시 안남(安南)이라고 불렸던 지금의 베트남에는 진씨(陳氏)가 세운 진조(陳朝·1225~1400)가 있었는데, 1400년 호계리(胡季?)가 이를 무너뜨리고 호조(胡朝)를 건국했다. 그러나 명의 성조(成祖) 영락제는 1406년 수십만 대군을 보내 호(胡)씨 왕조를 무너뜨리고 건국 시조 호씨 부자를 납치해 왔다. 명나라가 건국된 지 10년도 안 된 호조를 멸망시킨 것은 조선에 큰 위협이었다. 태종은 재위 7년(1407) 신하들과 이 사태를 의논했는데, 공조판서 이래(李來)가 “천하의 군사로 이 소국을 정벌하니 어찌 감히 대적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무력감을 토로했다.
태종은 “그렇지 않다. 군사는 정예로운가가 중요하지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대했다. 나아가 태종은 “우리나라가 조금이라도 사대의 예를 잃는다면 (명나라는) 반드시 군사를 일으켜 죄를 물을 것이다. 나는 한편으로는 지성으로 섬기고, 한편으로는 성을 튼튼히 하고 군량을 저축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한다”(‘태종실록’ 7년 4월 8일)라고 말했다. 사대외교로 분쟁을 예방하는 한편 군비를 갖추고 있다가 만약의 경우 명과 결전하겠다는 것이 태종의 외교, 국방정책이었다. 이처럼 조선 초기의 사대주의는 여차의 경우 명나라와의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군사적 의지를 배경에 깐 외교정책이었다. 조선의 국체 유지와 안정을 위해 사대를 선택한 것뿐이다. 소중화(小中華) 사상으로 대변되는 극단적 사대주의가 횡행했던 조선 후기와는 달랐다.
그간 우리 외교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았다. 중국의 부상과 함께 달라진 외교 환경의 변화 탓도 클 것이다. 해방 이후의 신우방인 미국과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우방이었던 중국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새 과제로 등장한 것이다. 조선 초기의 사대교린이 통일 제국인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살면서 국체를 보존하기 위한 지혜의 산물이었다면 조선 후기의 사대주의는 소중화 운운하면서 자신의 정체성까지 버린 패배주의나 다름없었다. 지금 우리가 계승해야 할 것은 조선 초기의 실리 외교정책이지 조선 후기의 극단적 사대주의는 아닐 것이다.
2016-05-1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