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길 건양대 행정부총장
이 충격적인 세 개의 사건에는 공통점이 있다. 지식의 상아탑이라고 불리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이라는 공간 안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것이다. 그것도 교수와 제자, 선배와 후배, 동기생 간 등 대학 내 핵심 구성원들 사이에서 말이다. 동료와 함께 학문을 탐구하고, 전문가가 되기 위한 지식 습득 및 인성 함양에 힘써야 하는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폭력 조직에서나 벌어질 만한 상상할 수 없는 사건이 연이어 터졌다.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인성이라는 덕목이 굉장히 중요해졌다. 기업 인사 담당자들은 입을 모아 ‘능력보다 인성을 갖춘 사람을 뽑겠다’고 말하고 있고, 대학에서도 학생들에게 인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쏟아내고 있다. 지난해에는 초·중·고 시절부터 인성교육을 의무화하는 ‘인성교육진흥법’이 여야 199명 만장일치로 통과돼 올해부터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다.
필자 역시 학생을 교육하는 선생으로서 인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주변 사람들, 기관 및 기업에서 어떤 인성을 가진 학생을 원하는지 관심을 기울여 왔다. 그러던 중 사람마다, 조직마다 강조하는 인성의 정의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가족 안에서 중시되는 인성과 기업에서 요구하는 인성에 차이가 있는 것이다. 가족 간에는 상호 소통을 통해 상대방의 잘못을 덮어 주고 무한적인 희생과 사랑을 하라고 가르친다. 기업에서는 동료와 원만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되 상호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를 내야 하고 그 가운데 수직적인 위계질서는 반드시 존중되는 것이 덕목이다.
둘 중 어느 것이 옳고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하지만 조직의 목표에 따라 인성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그렇다 보니 인성이라는 이름으로 위계질서에 순응하기를 강요당하거나 부조리한 관행을 그대로 답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성이 하나의 수단이 돼 버리는 것이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내부 고발자가 오히려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좋은 게 좋은 것’이라는 이유로 쉬쉬하며 부조리에 눈감기를 강요하는 공동체의 요구를 거부하고 세상에 알리는 사람을 과연 인성이 나쁘다고 할 수 있을까.
이러한 불합리한 상황이 심해지면 우리는 점점 인성이라는 틀 안에 갇혀 창의적이고 개성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나 행동을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잘 알려진 책의 제목처럼 ‘미움받을 용기’가 없어지는 것이다. 미움받기를 두려워하는 사회, 그것은 인성의 차원을 뛰어넘어 모든 구성원이 소모품처럼 돼 버리는 끔찍한 사회가 되고 말 것이다.
인성은 중요하다. 인성이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성향이며, 특히 짐승과 다르게 함께 어우러져 번영하며 사는 인간만이 가진 특권이다. 그 때문에 어린 시절부터 인성을 강조해야 하고 대학에서도, 사회에 나가서도 인성 함양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인성의 기준을 너무 좁게 잡지 않았으면 좋겠다. 한때 프랑스어인 톨레랑스라는 말이 유행했는데 영어로 관용을 뜻하는 톨러런스(Tolerance)와 같은 의미다. 톨레랑스란 타인과 나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용인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성 역시 톨레랑스와 크게 다르지 않다. 조금 튀고 나와 다른 사람을 비난하기보다는 이해하고, 조직의 구성원이 돼 최선을 다하되 창의성을 잃지 않고 곧은 말을 할 줄 아는 사람이 인성을 갖춘 사람으로 인정받는 세상이 빨리 오기를 바란다.
2016-04-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