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필원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
얼마 전 ‘응답하라 1988’이라는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런 복고적 드라마가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키는 이유는 무얼까. 1인당 국민소득이 4692달러로 지금의 약 6분의1에 불과했던 시절, 대학진학률은 36.4%로 지금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던 그때가 싫지 않고 오히려 그리운 것은 왜일까. 지금보다 훨씬 가난하고 학교 교육은 덜 받았지만 일상의 수준은 그때가 오늘보다 한참 나았기 때문이 아닐까.
일상에도 품격이 있다. 품격이란 천박함의 반대말로 고상함, 우아함, 세련됨 등을 말한다. 그것은 돈으로 살 수 있거나 학벌 등의 스펙으로 얻을 수 있는 무엇이 아니다. 어떤 존재의 고상함과 우아함은 어떤 겉치장이 아니라 남을 배려하는 여유가 있을 때, 세련미는 주변과 조화를 이룰 때 우러난다. 그런데 여기서 간과하기 쉬운 것은 일상의 품격은 적절한 공간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응답하라 1988’에서는 골목을 같이 사용하는 이웃들이 음식을 나누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그에 반해 요즘 유행하는 이른바 먹방은 이웃끼리 음식을 나누는 이야기가 아니다. 맛있게 만들어서 잘 먹는다는 지극히 개인적인 내용이다. 그것을 아무리 애청해도 이웃과 함께하는 여유와 조화에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이렇게 일상의 품격은 어디 가고 개인적인 욕구만 난무하고 있다.
그럼 언제부터 우리 사회에서 일상의 품격이 추락하기 시작했을까. 필자는 1980년대부터라고 본다. 대규모 도시 재개발의 상징인 ‘을지로 재개발’이 일어난 것은 바로 ‘응답하라 1988’ 때다. 광풍처럼 불어닥친 도시 재개발로 인해 건물과 길은 커지고 작은 집들과 골목길들이 급속히 사라지기 시작했다. 나와 가족만을 위한 집은 커졌는데 나와 가족 이상을 생각할 수 있는 공간, 일상의 품격을 배우고 실천하는 공간, 골목이 사라진 것이다.
골목은 집과 도시를 이어 주는 공간, 곧 개인·가족과 공공을 이어 주는 공간이다. 그것은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배우기 어려운, 이웃과 화목하게 조화를 이루고 살기 위해 필요한 예의와 매너를 가르쳐 주는 곳, 곧 사회교육의 장소다. 또한 그것은 어떤 보안 시스템보다도 강력한 상호 감시라는 장치로 낯선 사람을 걸러 주어 생활을 안전하게 지켜 주는 공간이기도 하다. 골목은 사적인 공간도 아니고 그렇다고 공적인 공간도 아닌 중간 성격의 공간, 공동체의 공간이다. 개인 혹은 가족들을 작은 공동체로 묶어 주고 공공, 곧 도시 공간으로 연결해 주는 끈이자 중요한 삶의 무대다. 골목이 사라진 것은 공동체가 사라짐을 의미한다. 골목이 사라지고 그것이 지지하던 공동체가 붕괴하면서 도시는 일상의 품격을 배울 수 없고 안심하고 살기도 어려운 곳이 됐다.
현대의 대도시에서 대로변에 대형 건물을 짓고 도시 기능을 수용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그 이면의 주거지에까지 높고 큰 집을 짓고 골목을 없애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다. 그럼 어떻게 하면 좋을까. 같은 과제를 이미 근대 시기에 풀어 낸 이웃 나라들을 참조하면 도움이 된다. 중국에서는 리룽(里弄), 곧 골목길을 따라 집들을 붙여 지은 이롱주택이라는 공동주택 유형을 창안했고, 일본은 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집들을 가로를 따라 붙여 지은 나가야(長屋)라는 공동주택 유형을 만들어 냈다. 모두 자신들의 전통 주택을 새로운 도시에 맞도록 진화시킨 결과다.
우리도 이제 전통 한옥을 현대도시에 맞게 발전시킨, 오랫동안 일상의 품격을 지켜 준 골목과 짝을 이룰 수 있는, 새롭지만 낯설지 않은 주거 유형을 창안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무너진 일상을 다시 세우고 이웃과 함께 따뜻하고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
2016-04-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