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신문이나 TV 등을 보면 “100세 시대”, “행복한 노후 설계”라는 광고 문구를 너무 많이 접하게 된다. 이런 표현들은 금융회사나 의료기관에서 광고 홍보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만큼 우리 사회에서 생명 연장에 따른 생계유지와 노후설계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제 노후에 대한 막연한 기대나 두려움보다는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필자는 100세 시대를 맞아 행복한 노후설계를 위해서는 제2, 제3의 직업을 미리 준비해 ‘미래의 현금 흐름’을 개선하자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누구나 100세까지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은 희망한다. 또한 건강하고 윤택하게 100세까지 우리 인생을 즐기고 싶은 것이 솔직한 소망일 것이다. 저자도 소망한다. 대부분 직장인들은 55~60세를 전후해 직장생활을 그만두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 연령대에 보유한 재산만으로는 85세까지의 삶도 녹록하지 않다. 좀 더 솔직하게 이야기하자면 현실적으로 60세를 전후해 10억원대의 재산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대다수 국민들은 윤택하고 건강한 노후에 대한 막연한 꿈은 버려야 한다.
현재의 우리 현실은 30세에서 60세 사이에 축적한 재산으로 60세 이후의 삶을 영위해야 하고, 연금 수령이 가능한 60대 중반이 돼도 현실적으로 연금으로는 최소 생계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삶은 베이비 붐 세대들의 은퇴 시점과 맞물리며 벌써 사라져 가고 있다. 주변을 둘러봐도 부모님께 용돈을 일부 드리는 수준이지 부모님의 생활비 전액을 부담하는 직장인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과거 시대에는 당연시했던 부모님 봉양을 요즘 세대의 사람이 하면 효자 효부라고 칭찬한다. 세상이 변한 것이다.
이제 이처럼 변화된 우리 사회 모습에 새로운 적응을 준비해야 한다. 재산이 삶의 모든 질을 결정하지는 않지만, 솔직히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물질적인 사람으로만 평가받고 싶지 않기에 직접 언급하지 못한다. 그러나 솔직하게 이야기해서 지금보다 금전적 여유가 조금 더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더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금융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회인으로서 좀 더 솔직한 이야기를 드리고 싶다. 금융서비스를 통한 행복한 노후설계는 보조 수입의 역할에 국한된다는 것이다. 제2, 제3의 구직을 통해 주수입을 만들어 내는 것이 100세 시대의 진짜 행복한 노후 준비이고 설계다. 물론 모든 국민들이 지속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싶어 하지만 현실은 쉽지 않다. 어렵기 때문에 좀 더 일찍 준비를 해야 하고 우리 사회의 인식도 좀 더 변해야 할 것이다. 건강상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지 않는 한 최소 65세 수준까지는 주수입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제2, 제3의 직업을 가져야 한다. 제2, 제3의 직업이 꼭 수입이 많은 직업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작은 소일거리라도 일정 수준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우리 사회도 이런 어르신(시니어)들의 경제활동 및 사회활동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사회적 인식도 바꿀 필요가 있어 보인다. 말하자면 사회의 인식이 좀 더 성숙돼야 한다. 인생 선배들이 제공해 주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너무 불편해하지 말고 익숙해져야 한다. 주유소에서 어르신들이 주유 서비스를 해 주어도 자연스럽게 생각해야 한다. 급하지 않은 택배 서비스를 어르신께 받는다고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우리 주변 사회적 시니어들의 봉사 및 경제활동에 대해 이제 멋있게 생각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대한민국 경제가 여전히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 국가들과 차별화된 경제로 성장할 것이다.
이제 100세 시대이고 제2, 제3의 직장생활을 해야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가 될 것이다. 또 사회활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며 건강과 지식을 더 얻게 될 것이다. 직업의 은퇴는 있지만, 삶의 은퇴는 살아 있는 동안은 없다. 직업의 은퇴를 늦추기 위한 경쟁력 확대가 우리 삶의 은퇴를 늦춘다.
구희진 대신자산운용 대표
누구나 100세까지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은 희망한다. 또한 건강하고 윤택하게 100세까지 우리 인생을 즐기고 싶은 것이 솔직한 소망일 것이다. 저자도 소망한다. 대부분 직장인들은 55~60세를 전후해 직장생활을 그만두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 연령대에 보유한 재산만으로는 85세까지의 삶도 녹록하지 않다. 좀 더 솔직하게 이야기하자면 현실적으로 60세를 전후해 10억원대의 재산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대다수 국민들은 윤택하고 건강한 노후에 대한 막연한 꿈은 버려야 한다.
현재의 우리 현실은 30세에서 60세 사이에 축적한 재산으로 60세 이후의 삶을 영위해야 하고, 연금 수령이 가능한 60대 중반이 돼도 현실적으로 연금으로는 최소 생계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자식이 부모를 봉양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삶은 베이비 붐 세대들의 은퇴 시점과 맞물리며 벌써 사라져 가고 있다. 주변을 둘러봐도 부모님께 용돈을 일부 드리는 수준이지 부모님의 생활비 전액을 부담하는 직장인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과거 시대에는 당연시했던 부모님 봉양을 요즘 세대의 사람이 하면 효자 효부라고 칭찬한다. 세상이 변한 것이다.
이제 이처럼 변화된 우리 사회 모습에 새로운 적응을 준비해야 한다. 재산이 삶의 모든 질을 결정하지는 않지만, 솔직히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물질적인 사람으로만 평가받고 싶지 않기에 직접 언급하지 못한다. 그러나 솔직하게 이야기해서 지금보다 금전적 여유가 조금 더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더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여기서 필자는 금융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회인으로서 좀 더 솔직한 이야기를 드리고 싶다. 금융서비스를 통한 행복한 노후설계는 보조 수입의 역할에 국한된다는 것이다. 제2, 제3의 구직을 통해 주수입을 만들어 내는 것이 100세 시대의 진짜 행복한 노후 준비이고 설계다. 물론 모든 국민들이 지속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싶어 하지만 현실은 쉽지 않다. 어렵기 때문에 좀 더 일찍 준비를 해야 하고 우리 사회의 인식도 좀 더 변해야 할 것이다. 건강상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지 않는 한 최소 65세 수준까지는 주수입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제2, 제3의 직업을 가져야 한다. 제2, 제3의 직업이 꼭 수입이 많은 직업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작은 소일거리라도 일정 수준 수입을 벌어들일 수 있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우리 사회도 이런 어르신(시니어)들의 경제활동 및 사회활동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사회적 인식도 바꿀 필요가 있어 보인다. 말하자면 사회의 인식이 좀 더 성숙돼야 한다. 인생 선배들이 제공해 주는 서비스에 대해서도 너무 불편해하지 말고 익숙해져야 한다. 주유소에서 어르신들이 주유 서비스를 해 주어도 자연스럽게 생각해야 한다. 급하지 않은 택배 서비스를 어르신께 받는다고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우리 주변 사회적 시니어들의 봉사 및 경제활동에 대해 이제 멋있게 생각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대한민국 경제가 여전히 재정 위기를 겪고 있는 유럽 국가들과 차별화된 경제로 성장할 것이다.
이제 100세 시대이고 제2, 제3의 직장생활을 해야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가 될 것이다. 또 사회활동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며 건강과 지식을 더 얻게 될 것이다. 직업의 은퇴는 있지만, 삶의 은퇴는 살아 있는 동안은 없다. 직업의 은퇴를 늦추기 위한 경쟁력 확대가 우리 삶의 은퇴를 늦춘다.
2016-03-1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