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정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문제는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일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는 과거에도 여러 위기가 있었지만, 이를 잘 극복한 경험이 있다. 두 차례의 석유파동, 외환위기, 그리고 최근의 세계적 금융위기 등을 잘 헤쳐 나왔고, 그때마다 나름대로 사회가 성숙해졌던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왜 더 어려워 보일까. 실력이 부족해서? 필자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세계 최고급의 인재는 못 될지 모르지만 지금 한국의 젊은이들은 단군 이래 최고의 스펙을 갖추고 있고, 각 분야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도 과거 위기 때보다는 훨씬 좋은 실력을 갖추고 있다. 아무리 현재 상황이 복잡하다 해도 인재가 없어서 과거처럼 위기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말은 설득력이 없다. 문제는 이러한 인재들의 힘을 모아 한 방향으로 끌고 갈 수 있는 리더십이 없다는 데 있다고 생각된다. 사회 각 분야에서 미래 비전을 보여 주면서 사람들을 이끌고 갈 지도자가 보이지 않는 것이다.
온 국민의 지탄과 조롱의 대상이 돼 있는 정치권은 더 할 말도 없으니 논외로 하자. 그러면 경제계에는 비전 있는 리더가 있나? 지난해 말 어느 대기업이 신입사원도 구조조정 대상으로 했다는 소식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젊은 세대의 일자리 창출이 최대의 현안인데, 역경을 극복할 대담한 발상보다 손쉽게 사람을 자른 것이다. 원로 경영학자 한 분이 “중국 기업이 무서운 이유는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나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처럼 40~50대 초반의 최고경영자들이 공격적인 경영을 하는 데 반해 한국 대기업 수장들은 60~70대이거나 재벌 2~3세여서 수세적인 경영을 한다는 데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들은 일이 있다. 이처럼 한국 기업들이 현실에 안주하면서 가진 것을 지키는 것에만 신경을 쓰니 젊은 세대들에게 희망이 안 보이는 것이다.
한국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야 할 과학기술계 현실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사실 과학기술계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의 평균적인 실력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괄목할 만하게 높아졌다. 문제는 이들의 능력을 모아 세상을 바꾸는 혁신적인 과학적 발견이나 기술을 만들어 내야 하는데, 그런 리더들이 없어서 연구자들이 알알이 흩어져 있는 형국이라는 데 있다.
최근 서울대 공대 교수들이 펴낸 ‘축적의 시간’이라는 책은 이점을 잘 지적하고 있다. 즉 부분적인 요소 기술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간 것들이 있지만, 시스템 전체를 보고 개념 설계를 할 수 있는 ‘아키테크’들이 부족해 큰 그림을 못 그린다는 데 한국 과학기술계의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젊은이들에게 꿈을 심어 주고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해 주어야 하는 대학이나 교육계는 어떠한가. 애석하게도 여기도 비전 있는 리더를 찾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학 총장들은 알량한 정부보조금을 받기 위해 교육부에 휘둘리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인터넷 발달과 사회의 인력 수요 변화 때문에 교육 방법 자체가 바뀌어야 하는데도 대부분의 교수들은 과거의 구태의연한 방법을 고집하고 있다. 그러니 인력 수요자인 기업은 기업대로 불만이고, 학생들도 자신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지 못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가 이 같은 리더십의 공백을 메우지 못하면 당면한 위기 극복이 힘들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궁극적 목적인 선진국 진입은 꿈꾸기조차 어려울 것이다. 지금 각 분야의 소위 지배층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알량한 기득권을 내려놓고 넓은 시야로 사회 전체를 보면서 통 큰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그것이 “생존을 결정하는 것은 전두엽 색깔이 아닌 수저 색깔”이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한 어느 명문대생이나 ‘N포 세대’를 자처하며 절망 속에 사는 많은 젊은이들에 대한 기성세대의 최소한의 의무가 아닐까.
2016-01-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