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돼 있던 공연이 취소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급박하게 공연 당일 취소되는 경우는 천재지변 또는 연기자나 연주자의 컨디션 때문이 일반적이다. 이때 주최 측은 취소 이유를 공지하거나 기자회견을 열어 양해를 정중히 구하고 입장권을 환불해 주는 절차를 밟는다. 공연 날짜를 바꿔 추후 관람할 수 있게 해 주기도 한다.
북한 모란봉악단의 베이징 공연 취소는 공연예술의 상식을 깬 공연 사상 유례없는 해프닝으로 기록될 만하다. 연주자의 사정이나 공연장의 문제도 아니니 향후 미스터리로 남을 확률이 높다. 북한 대중문화의 신성이라고 하는 북한판 걸그룹 모란봉악단의 공연은 북·중 문화 교류의 성격을 띤 국가 간의 공연이었다. 그것이 국가 간의 사정에 의해 깨졌다면 애당초 추진하기도 어려웠을 것이다. 그렇다면 공연 내용 때문이었을까.
공연예술에서 미디어와 매니징의 활용은 필수 요소다. 기획 단계부터 세부 프로그램의 조율, 기술적인 협의를 통해 무대에 오른다. 더욱이 자국 무대가 아닌 외국 공연이라면 이미 스태프 회의를 통해 극장 측에 큐시트가 전달돼야 한다. 중국이든 북한이든 양쪽의 공연 매니저들이 서로 정보가 없었거나 처음부터 매니저의 역할이 없었다는 얘기가 된다. 공연이 불발된 원인을 상식선에서 찾긴 어려운데, 정작 당사국인 북한과 중국은 아직까지 말이 없다.
김정은의 공연정치는 김정일을 계승한 것이다. 공연정치는 김정일 시대부터 중요한 통치 수단이었다. 1971년 김정일은 아버지 김일성을 위해 최고의 배우 150명으로 구성된 특별한 극단을 만들었다. 첫 작품 ‘피바다’의 제목을 따 이름 붙인 ‘피바다가극단’이다. 피바다가극단은 1972년 대중적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를 무대에 올렸다. 그리고 곧바로 중국으로 가서 공연을 했는데 대성공을 거두었다. 문화혁명의 소용돌이에서 막 벗어난 중국이라 그러했을 것이다.
2002년 첫선을 보인 매스게임 ‘아리랑축전’에는 해마다 10만명 이상의 학생, 여성, 군인이 고도로 훈련된 시민·배우로 참가한다. 이 스펙터클은 북한 주민에게는 사상적·정치적 슬로건을, 국제사회에는 핵심적인 외교 메시지를 전달한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예술인들은 아리랑축전을 예술로 보지는 않는다.
‘아리랑축전’의 주요 구성 요소는 이미 1972년쯤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다. 김일성 이후의 권력승계 문제가 결정돼 가던 때였다. 2000년대의 이 공연은 1970년대의 몇몇 중요한 연극적·음악적 작품들에 의존했지만 북한은 이 모든 작품들이 김정일의 예술적 천재성과 노력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모란봉악단은 2012년 김정은의 지시로 창단됐다. 아버지인 김정일이 만들었던 은하수악단 이후 김정은의 친솔(親率) 악단이 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멤버는 19명이고 미인 위주로 구성돼 있다. 단장은 김정은의 옛 애인이라는 설이 있다. 미녀 악단은 이래저래 북한엔 골칫덩이로 남을 수 있다.
김정은의 걸그룹 첫 번째 ‘공연정치’ ‘음악정치’는 의문만 남긴 채 불발됐다. 마치 이설주의 은하수악단이 추문 끝에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렸듯이. 북한이 자랑하는 장거리 로켓 미사일 은하 3호 발사(배경화면에 이 장면 삽입 때문에 공연이 취소됐다는 설도 있다) 역시 불발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모란봉악단의 베이징 공연 해프닝은 정치 쇼의 가벼움을 말해 준다. 만약 김정은이 순수 예술교류 차원에서 베토벤이나 브람스 곡으로 조선국립교향악단을 공연사절로 보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012년 3월 파리에서 북의 은하수교향악단이 브람스 1번 교향곡을 연주 했을 때, 단원 대부분은 브람스 교향곡을 처음 보고 처음 연주했다고 한다. 북의 교향악단은 체제 유지를 위한 사상 음악을 주로 연주하고 베토벤, 모차르트 등의 순수 음악을 연주하지는 않는다.
2000년 8월에 분단 이래 최초로 서울에서 공연을 가진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성공적인 두 차례 연주가 기억난다. 두보의 시에 나오는 ‘알맞은 때에 내리는 좋은 비’처럼 남과 북의 호우시절(好雨時節)은 언제가 될까. 그 이후 교향악단의 지속적인 교류를 갖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원철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대표
공연예술에서 미디어와 매니징의 활용은 필수 요소다. 기획 단계부터 세부 프로그램의 조율, 기술적인 협의를 통해 무대에 오른다. 더욱이 자국 무대가 아닌 외국 공연이라면 이미 스태프 회의를 통해 극장 측에 큐시트가 전달돼야 한다. 중국이든 북한이든 양쪽의 공연 매니저들이 서로 정보가 없었거나 처음부터 매니저의 역할이 없었다는 얘기가 된다. 공연이 불발된 원인을 상식선에서 찾긴 어려운데, 정작 당사국인 북한과 중국은 아직까지 말이 없다.
김정은의 공연정치는 김정일을 계승한 것이다. 공연정치는 김정일 시대부터 중요한 통치 수단이었다. 1971년 김정일은 아버지 김일성을 위해 최고의 배우 150명으로 구성된 특별한 극단을 만들었다. 첫 작품 ‘피바다’의 제목을 따 이름 붙인 ‘피바다가극단’이다. 피바다가극단은 1972년 대중적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를 무대에 올렸다. 그리고 곧바로 중국으로 가서 공연을 했는데 대성공을 거두었다. 문화혁명의 소용돌이에서 막 벗어난 중국이라 그러했을 것이다.
2002년 첫선을 보인 매스게임 ‘아리랑축전’에는 해마다 10만명 이상의 학생, 여성, 군인이 고도로 훈련된 시민·배우로 참가한다. 이 스펙터클은 북한 주민에게는 사상적·정치적 슬로건을, 국제사회에는 핵심적인 외교 메시지를 전달한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예술인들은 아리랑축전을 예술로 보지는 않는다.
‘아리랑축전’의 주요 구성 요소는 이미 1972년쯤부터 존재하기 시작했다. 김일성 이후의 권력승계 문제가 결정돼 가던 때였다. 2000년대의 이 공연은 1970년대의 몇몇 중요한 연극적·음악적 작품들에 의존했지만 북한은 이 모든 작품들이 김정일의 예술적 천재성과 노력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모란봉악단은 2012년 김정은의 지시로 창단됐다. 아버지인 김정일이 만들었던 은하수악단 이후 김정은의 친솔(親率) 악단이 된 셈이다. 보도에 따르면 멤버는 19명이고 미인 위주로 구성돼 있다. 단장은 김정은의 옛 애인이라는 설이 있다. 미녀 악단은 이래저래 북한엔 골칫덩이로 남을 수 있다.
김정은의 걸그룹 첫 번째 ‘공연정치’ ‘음악정치’는 의문만 남긴 채 불발됐다. 마치 이설주의 은하수악단이 추문 끝에 자취도 없이 사라져 버렸듯이. 북한이 자랑하는 장거리 로켓 미사일 은하 3호 발사(배경화면에 이 장면 삽입 때문에 공연이 취소됐다는 설도 있다) 역시 불발탄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모란봉악단의 베이징 공연 해프닝은 정치 쇼의 가벼움을 말해 준다. 만약 김정은이 순수 예술교류 차원에서 베토벤이나 브람스 곡으로 조선국립교향악단을 공연사절로 보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012년 3월 파리에서 북의 은하수교향악단이 브람스 1번 교향곡을 연주 했을 때, 단원 대부분은 브람스 교향곡을 처음 보고 처음 연주했다고 한다. 북의 교향악단은 체제 유지를 위한 사상 음악을 주로 연주하고 베토벤, 모차르트 등의 순수 음악을 연주하지는 않는다.
2000년 8월에 분단 이래 최초로 서울에서 공연을 가진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성공적인 두 차례 연주가 기억난다. 두보의 시에 나오는 ‘알맞은 때에 내리는 좋은 비’처럼 남과 북의 호우시절(好雨時節)은 언제가 될까. 그 이후 교향악단의 지속적인 교류를 갖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2015-12-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