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은 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
100세 시대는 과장이 아닌 현실이다. 특별한 사람들만 100세까지 사는 게 아니라 이제는 70년생 정도면 거의 절반이 100세까지 산다. 지금 50세라면 이제 절반쯤 산 셈이다. 대학생이라면 앞으로 100년을 더 살아야 할지도 모른다. 오늘, 대부분의 인생이 이제 막 시작인 셈이다.
100세를 살다 보면 혼자 살아야 하는 노후가 길 수밖에 없다. 결혼한 여성이라면 통계적으로 남편 사후에 10여년은 더 혼자 살아야 된다. 50세까지 한 번도 결혼을 하지 않은 ‘생애 미혼’도 빠르게 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남성의 20%가 생애에 단 한 번도 결혼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1인 가구가 2인 가구 수를 추월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혼자 사는 삶, 그것도 오래도록. 일이 없다면 혼자 이어가는 삶의 긴 시간을 제대로 감당하기 어려워진다. 앞으로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까. 혼자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 ‘노인 동거’나 ‘따로 또 같이’ 사는 식의 라이프스타일도 늘어날 수 있다. 아무리 부모 자식 관계라도 100세 노인을 70대 노인이 보살필 수는 없다. 다들 노년이 엄청나게 길어지기 때문에 누가 누구를 경제적, 육체적으로 보살피기는 어려워진다. 자신의 노년도 힘겨운데 어떻게 타인의 노년을 책임질 수 있을까.
라이프스타일은 크게 변할 수밖에 없다. 미국 MIT의 미래학자가 한국에 와서 강의를 하면서 이런 충격적인 말을 했다. “20대 때 결혼한 배우자와 100세까지 행복하게만 살 수는 없다. 인내하면서 살 수는 있더라도….” 우리 정서와는 동떨어진 듯하지만 따져보면 틀리지 않은 말이다.
아침에 눈을 떴을 때 “오늘은 뭘 하지?”라는 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가. 은퇴하고 나서 매일 할 일이 아무것도 없다면 어떨까. 여유가 있어서 골프 치는 것도 하루이틀이고, 돈 안 드는 산에 가는 것도 하루이틀이다. 할 일 자체가 없어서 날마다 12시간씩 텅 빈 시간이 앞에 뚝 떨어진다고 생각해 보라. 그 시간을 무엇으로 메우랴. 하루에 12시간씩 텅 빈 시간이 60세부터 80세까지 20년간 계속된다고 해보자. 그 느낌은 어마어마하게 길 것이다. 바쁘게 회사를 오갈 때의 하루보다 훨씬 더 길게 느껴질 것이다. 실제로 퇴직 후의 20년은 느낌상으로 현역 시절의 36년에 해당한다는 분석도 있다. 더 오래 살아서 60세에서 100세까지 할 일이 없다면 그 40년은 현역 시절의 70년에 가깝다고 한다. 그 오랜 세월을 하루하루 눈뜨면서 ‘오늘은 뭘 하지?’라고 질문하면서 시작한다고 상상해 보자. 정말 끔찍한 일이다.
어떤 투자보다도 더 좋은 것은 ‘평생 현역’이라고 한다. 금리가 낮은 시대에 한 달에 50만원을 버는 것은 현금 수억 원을 은행에 두고 이자를 받는 것과 같다. 그러니 지금 현재 받는 몇백만 원의 월급이란, 은행에 수십억 원의 돈을 넣어두고 받는 이자와 맞먹는다. 그러니 평생 현역이 되기 위해서는 직업의 귀천을 따질 수가 없다. 현역으로 일할 수만 있으면 다행인 것이다. 직장을 떠난 사람에게 매월 들어오던 월급이 끊기는 것은 참으로 고통스러운 일이다. 웬만한 사람들은 노년 빈곤의 대열에 들어서기 십상이다.
통장에 0원이 들어오는 경제적 빈곤 그리고 혼자 사는 세월의 정서적 외로움. 이런 문제를 가족이 해결해 주기에는 혼자의 몫으로 감당해야 할 세월이 너무 길다. 외로운 노년 빈곤을 남의 일로만 안일하게 생각하기에는 100세 시대 쇼크가 너무 크다. 노년에 행복하게 살려면 건강, 돈, 친구가 있어야 한다. 늘 어울릴 수 있는 친구가 많아야 외롭지 않을 것이다. 건강, 돈, 친구를 쌓으면서 100세 인생을 조금이라도 덜 힘들게 살아갈 방도를 미리 마련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
2015-12-1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