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걸 세명대 총장
학생의 선택을 받은 대학이 살아남고 그러지 못한 대학은 없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시장의 선택에 맡기는 것이 대학의 경쟁력도 높이고 학생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생각이다. 물론 일리 있는 주장이다. 그러나 학생들의 대학 선택이 지나치게 서울, 수도권 중심인 점을 고려하면 마냥 시장 원리에만 맡기기에는 무리가 있다. 언제부터인가 고교 졸업생의 수도권 대학 집중 현상이 도드라졌다. 지방국립대학도 우수한 지역 학생 확보가 쉽지 않다. 선진국은 많은 우수 대학들이 지방에 있다. 미국의 경우 대학으로 구성된 도시도 있다. 왜 선진국의 우수 대학들은 지방에 머물면서 좋은 교육을 시킬 수 있는데 우리의 경우 많은 고교 졸업생은 서울, 수도권으로 진학을 희망할까. 아마 서울, 수도권 대학이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에 도움이 되며 활발한 대학생활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2020년 이후 대학의 모습은 어떻게 될까. 시장 원리에 맡겨 두면 수도권 대학, 지방국립대학과 소수의 사립대학만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크다. 과연 이 방법이 국가 발전과 지역 균형발전에 바람직할까. 지방에서 대학의 역할은 단순히 교육과 연구에 국한되지 않는다. 지역사회의 지식 및 문화예술의 기반이 된다. 지역 중소기업에 필요한 인력도 공급한다. 또 수도권 지역에 비해 훨씬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는 농어촌 지역에 젊은이들을 머무르게 함으로써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도 한다. 대학이 하나밖에 없는 소규모 도시는 더욱 그러하다. 그렇다고 인위적으로 지방대학을 살릴 수 있을까. 그러지 못할 것이다. 급감하는 학령인구를 고려할 때 현재 대학 숫자가 너무 많다. 대학의 축소는 불가피하다. 그러나 모든 것을 학생의 선택에 맡기거나 지방대학의 축소로만 이루어져서는 곤란하다.
어떻게 해야 하나. 먼저 지방대학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시설과 내용을 크게 보완해야 한다. 벌써 상당수 지방대학은 학과를 실용 위주로 전환하거나 통폐합을 추진 중이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들도 지방대학의 장점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선진국은 대학생이 되면 대부분 부모로부터 독립해 혼자 사회생활을 준비한다. 우리도 대학생이 되면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공간과 역할을 찾을 필요가 있다. 기숙사 생활을 통해, 또 자연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지방대학으로의 진학도 고려됐으면 한다. 셋째, 학령인구의 급감에 따른 대학구조 개혁에 대해 교육부뿐만 아니라 관련 부처, 기관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집중적인 논의를 해야 한다. 또 체계적인 구조개혁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학생들의 선택을 바탕으로 하되 지역 균형발전, 수도권 집중 완화 등 국가적 목표에도 부합되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 불가피하게 퇴출당하는 대학의 경우 이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이 동시에 모색돼 대학구조 개혁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필요가 있다.
대학의 구조개혁은 대학만의, 교육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백년대계를 좌우할 만한 중요한 사안이다. 정부, 국회, 언론, 대학, 지역사회가 모두 합심해 최선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2015-11-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