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왜 결혼 안 하나요?/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열린세상] 왜 결혼 안 하나요?/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입력 2015-04-30 00:48
수정 2015-04-30 01: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지난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혼인·이혼 통계에 의하면 결혼건수가 30만 5500건으로 전년 대비 1만 7000건이 감소하여 2004년의 30만 8600건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함인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
결혼관을 주제로 진행되어온 일련의 조사 결과 추이를 보면 “취업은 필수, 결혼은 선택”이요, “결혼은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는 인식이 꾸준히 증가해왔다. 지금까지는 결혼이 개인의 생애주기에서 반드시 지나가야 할 필수 항목이었다면 이제는 매우 신중하게 선택해야만 하는 럭셔리 아이템의 성격이 강화되고 있음을, 이들 결과가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요즘 들어선 “판단력이 부족하여 결혼하고 인내력이 없어 이혼하는데 기억력이 흐려져 재혼한다”는 농담까지 등장했음에랴.

결혼 기피 요인으로는 남녀 공히 경제적 부담 때문일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지만, 특별히 결혼 적령기 여성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문제가 그리 간단한 것 같지만은 않다. 일단은 결혼의 필요성을 굳이 느끼지 않는 비혼파(非婚派)와 대책 없이 결혼을 미루는 만혼파(晩婚派)는 분명 구분을 해야 할 것 같다.

비혼파 속에도 적극적으로 독신을 선택하는 경우와 일본의 ‘패러사이트(寄生的) 싱글’처럼 소극적으로 결혼을 기피하는 경우 사이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함 또한 놓쳐선 안 될 것이다. 패러사이트 싱글은 일본 사회가 저속 성장 시대로 접어들면서, 결혼을 통해 계층하강의 위험을 무릅쓰기보다는 부모 밑에서 안락하게 살겠다는 싱글 비율이 급증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지금도 일본의 성장 동력을 저해하는 초저출산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선뜻 결혼제도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만혼파 여성들의 속내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있다. 지난해 말 서울과 베이징에 거주하는 고학력 여성 300여명을 대상으로 결혼관을 비교 분석한 바에 따르면, 한국에선 결혼의 필요성을 인정한 비율이 43%에 머물렀던 반면 중국에선 74%의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었다. 결혼을 할 경우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는 “새로운 가족관계에 대한 부담”이 한국과 중국 공히 1순위로 나타난 가운데 2순위로 가면 한국은 “출산과 육아의 부담”을 지목하고 있었고 중국은 “자율적인 생활 상실 가능성”을 들고 있었다.

심층면접을 통해 밝혀진 것보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국가 사회주의를 경험한 바 있는 중국 여성의 경우는 노동자로서의 강력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전통적 가족 가치관에 대해서도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선 남성들의 가사 및 양육 참여가 일상화되어 있기에 결혼 이후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결혼의 장애요인으로 등장하는 현실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여성 취업률이 80%에 육박하는 중국에선 맞벌이 부부 중 먼저 귀가하는 사람이 저녁식사 준비를 하면 뒤에 오는 사람이 설거지를 하는 것이 불문율이라 한다. “집안 일 하기 귀찮아 혹시 남편들이 늦게 귀가하는 것은 아니냐?”는 물음에 “그런 일은 없다”, “질문의 의미를 모르겠다”는 답이 돌아왔다.

그러고 보니 여성 취업률이 50%대에 머물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서 유독 결혼 기피현상이 두드러짐은 예삿일은 아닌 것 같다. 여성은 가족을 위해 밖으로 나갔으나 남성은 여전히 가족을 위한다는 명분하에 밖으로 돌고 있는 현실이야말로 양국 여성들이 결혼을 두려워하는 숨겨진 요인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렇다면 비혼, 만혼 가리지 않고 “언제 결혼날짜 잡을 것이냐”고 과도한 압력을 부과하거나 저출산의 책임을 여성들에게만 물어 사회적 낙인을 찍음은 희생자 비난하기(blaming the victim)의 전형적 사례요, 실현 가능한 해결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길을 차단하는 비합리적 처사이다.

결국 여성들로 하여금 “나만의 인생”에 대한 욕구를 희생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가족 공동체의 핵심적 기능 및 가치에 대한 지지와 헌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삶의 여건이 마련될 때만이, 추락하는 결혼율을 반등시킬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음이야말로 이웃 중국 여성들로부터 환기할 수 있는 단순하고도 명료한 교훈 아니겠는지.
2015-04-30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