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M&A 협상, 언제 그만둬야하나/최경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열린세상] M&A 협상, 언제 그만둬야하나/최경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11-10-19 00:00
수정 2011-10-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경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최경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최근 일본 기업들이 엔고를 무기로 해외기업의 인수합병(M&A)을 공격적으로 개시하였다. 일본 정부는 경제의 장기 침체와 고령화로 인해 둔화된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국책 금융기관인 국제협력은행(JBIC)을 통해 기업들의 해외 M&A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JBIC는 거품경제가 시작되기 직전인 1980년대 말 해외 부동산 매입을 지원하던 것과는 달리, 현재는 해외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 등을 매입하는 데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이 과거 미국의 록펠러센터 등 상징적 건물과 부동산들을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매입했으나 거품이 꺼지면서 많은 손실을 감수하고 재매각한 사실에 호사가들이 ‘일본의 미국에 대한 진정한 해외원조(foreign aid)’라는 냉소적 논평을 내기도 했던 역사에서 교훈을 얻은 듯하다. 일본의 대기업들은 미래형 성장산업의 육성을 위해 M&A를 통해 의료와 에너지, 환경 등의 성장분야와 아시아 신흥국으로 해외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도 경제구조의 전환을 위해 중국정부가 기업들의 M&A를 통한 해외진출 전략을 지원하여, 규모면에서 세계 2위의 ‘글로벌 투자가’로 부상하였다. 중국기업들은 최근 풍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가치가 하락한 해외 피인수기업들에 대한 공격적 M&A를 감행, 중국의 해외투자는 2003년 대비 20배가량 증가하였다. 선진국 기업을 인수하여 고급기술·브랜드 등의 무형자산을 확보하고 중국의 생산력과 결합하여 해외시장 진출에 주력하고 있으며, 금융부문에 대한 해외투자도 재개하였다. 내용면에서는 국유기업 중심의 진출에서 우량 민영기업의 진출이 증가하고, 절대적 지배권을 확보하는 M&A 외에도 부분적 M&A, 합작(joint venture), 협력(alliance)과 같은 점진적 방식으로 상대기업의 가치와 합병 시의 시너지 등을 파악하여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는 질적 변화도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M&A 열기 속에서 한국기업들도 활발하게 해외기업의 M&A에 동참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는 유럽발 재정위기와 이중경기침체(더블딥) 가능성 등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대기업들이 현금을 보유하려는 분위기이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이 더블딥에 빠질 경우 생기는 기회에, 시장가치가 떨어진 우량한 외국기업에 대한 국내 기업의 M&A 시도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는 측면도 있다.

M&A 전략이 포화된 국내시장에서 해외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하여 빠른 속도로 진출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임은 동의한다. 그러나 이럴 때일수록 M&A에서의 ‘상당한 주의’(due diligence)의 실사와 노련한 협상이 필요하다. 베인앤드컴퍼니의 2002년 보고서에 의하면 250명의 M&A 담당임원들을 서베이한 결과, M&A 실패율은 70~90%로 그중 절반 이상이 상당한 주의가 적당하지 않았고, 3분의2가 시너지 효과를 과대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대상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하여 인수기업은 상당한 주의로 정밀 실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특수관계자 채권·채무를 집요하게 파악하고, 부실자산이나 부외부채 대상을 집중 점검하고, 완전한 파악이 불가능한 우발 부채는 향후 발견되는 경우 매각자가 부담하는 규정을 인수계약서에 포함시켜야 한다. 그러나 거래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복잡한 계약조건보다는 적정한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다.

적대적 인수가 아닌 한 인수대상기업은 되도록 좋은 측면만을 보이려 할 것이고, 인수기업의 경영자가 시너지 창출에 대한 자신감으로 인수합병을 강행하는 경우라면 위험천만하다. 인수합병의 동기로 시너지 효과를 우선 꼽지만, 많은 경우 시너지 효과는 과대평가되거나 그 실현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가격 산정에서 시너지 효과는 제외된 스탠드 얼론(stand alone) 가격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짙은 화장을 한 얼굴이 아니라 화장을 지운 맨얼굴을 보고 합병 여부를 판단하고, 만족스럽지 않다면 협상테이블에서 일어나야 한다. 미련이 남는다면 점진적 방식(startup small)으로 시간을 두고 상대기업의 가치와 합병의 시너지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2011-10-19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