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6·25전쟁, 한국전쟁, 남북전쟁/전현수 경북대 사학과 교수

[열린세상] 6·25전쟁, 한국전쟁, 남북전쟁/전현수 경북대 사학과 교수

입력 2011-06-27 00:00
수정 2011-06-27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6·25전쟁’ 발발 61주년을 맞고 있다. 해마다 이 기념일이 반복되듯이 올해도 예외 없이 이 전쟁에 어떠한 이름을 붙여 줄 것인가 하는 논쟁이 언론지상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6·25전쟁’인가 ‘한국전쟁’인가를 다투는 이 논쟁은 최근에는 학계로까지 확산되는 양상이다.

이미지 확대
전현수 경북대 사학과 교수
전현수 경북대 사학과 교수
전쟁 발발 직후에는 ‘6·25사변’, ‘6·25동란’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다가 ‘6·25전쟁’이라는 용어로 통일되어 갔다. 1980년대에 들어와 ‘한국전쟁’(Korean War)이라는 명칭이 사용되면서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군사편찬연구소 등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조차 ‘6·25전쟁’과 ‘한국전쟁’이라는 명칭을 번갈아 사용했다.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해 교과부와 국사편찬위원회가 ‘6·25전쟁’을 공식적인 편수용어로 확정했지만, 교과서 밖에서는 ‘한국전쟁’이라는 용어가 여전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6·25전쟁’이라는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전쟁 발발 시점에서 따온 ‘6·25전쟁’이라는 명칭이 전쟁을 겪은 민중의 경험을 온축하고 있어 가장 객관적인 명칭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국전쟁’이라는 표현을 즐겨 사용하는 학자들은 ‘한국전쟁’이라는 무가치한 이름이야말로 이 전쟁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편견을 버리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주장한다.

전쟁에 어떠한 이름을 붙일 것인가 하는 문제는 전쟁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고 김춘수가 노래했던 것처럼, 우리가 어떤 전쟁에 특정한 이름을 붙여 주는 것은 그것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6·25전쟁’이라는 명칭은 전쟁 발발 시점을 부각시켜 북한의 전쟁 책임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개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용어는 전쟁의 전체 과정을 시야에 넣지 못하고 있다. 김일성과 스탈린의 ‘남침’ 전쟁만이 포착되어 있고, 이승만과 맥아더의 ‘북진’ 전쟁이나 중공군 참전 이후의 ‘미·중’ 전쟁을 포괄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한국전쟁’이라는 명칭도 문제가 많다. 외국 사람들 입장에서는 ‘한국에서 일어난 전쟁’(War in Korea), ‘한국전쟁’(Korea War 혹은 Korean War)이라는 표현이 가능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전쟁을 ‘한국전쟁’이라고 부르는 것은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 어느 나라도 자기 나라에서 일어난 전쟁을 이런 식으로 부르지 않는다. ‘한국전쟁’이라는 명칭은 ‘한국이 일으킨 전쟁’이나 ‘한국 사람들끼리의 전쟁’으로 잘못 이해할 가능성도 있다.

결국 우리는 61년째 이 전쟁을 기념하고 있지만 이 전쟁에 누구나가 공감할 만한 마땅한 이름을 붙여 주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전쟁의 명칭이 전쟁의 성격과 긴밀히 연관된 것이라면 전쟁의 성격을 명확히 함으로써 전쟁에 명칭을 부여하는 방향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전쟁 당시 남북의 지도자들은 모두 전쟁이라는 수단을 통해서라도 분단 상태를 극복해야 한다고 보았다. 김일성은 공공연히 국토완정을 주장하며 스탈린과 마오쩌둥을 설득하여 전쟁에 나섰다.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은 인민군의 남침으로 빛이 바랬지만, 인천상륙작전 이후 국군은 유엔군과 함께 38선의 회복에 만족하지 않고 압록강까지 진격했다. 남북은 형태는 다르지만 전쟁을 통해 통일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전쟁은 통일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분단을 한층 고착화했다. 이 때문에 이 전쟁을 ‘통일전쟁’이라고 부르는 것은 안이한 역사인식이다.

결국 ‘6·25전쟁’은 남과 북의 ‘통일’ 전쟁이라는 성격과 남한을 앞세운 자유진영과 북한을 앞세운 공산진영 사이의 전쟁이라는 이중적인 성격을 갖는다. 처음부터 내전의 성격과 국제전의 성격이 결합된 전쟁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이 전쟁을 남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세력과 북으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세력 사이의 전쟁, 즉 ‘남북전쟁’으로 불러 볼 수 있지 않을까.
2011-06-27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