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응, 시험공부 꽤 많이 했어”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열린세상] “응, 시험공부 꽤 많이 했어”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입력 2010-11-22 00:00
수정 2010-11-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부경희 광운대 미디어 영상학부 교수
외국 친구들에게 시험 당일 “시험공부 많이 했니?”라고 물었던 경험이 있으신지요. “아…. 어쩌지. 정말 별로 많이 못 했어.”라는 최대한 불쌍한 반응을 기대하지만, 뜻밖에 대부분 대답은, “응, 꽤 많이 했어.”라는 자신에 찬 대답입니다. 더 놀라운 것은 정작 시험 후 나쁜 결과에는 그렇게 연연하지 않습니다. 자신은 최선을 다했고 결과는 그래서 만족한다는 것이지요.

만약 우리 사회에서 누군가가 그렇게 대답했다면 바로 ‘잘난 척하는 애’로 따돌림을 받습니다. 반대로 준비 안 했다고 불쌍하게 말하던 친구가 좋은 점수를 얻으면 ‘내숭, 왕재수’라는 말까지 감수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런 경험을 우리와 너무 다른 그저 어떤 개인의 특성, 문화적 차이로 재미있다고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최근 국제학술대회에서 유사한 경험을 했습니다.

몇몇 외국 발표자들이 너무 당연하고 단순한 내용을 가지고 대단한 것처럼 포장(?) 발표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꽤 단단한 연구방법론에 이론도 빵빵한 연구를 매번 ‘부족한’ 연구라고 생각하는 우리의 멘탤리티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외국 친구들에게 물어 보니 “시험은 나와의 싸움인 동시에, 다른 친구들과의 싸움이기도 하다. 그래서 처음부터 자신감으로 심리적 제압을 하는 것이다. 그런 자신감이 일에서도 아주 중요하다.”라는 답이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정해진 내용 중 누가 더 많이 외웠거나 알고 있느냐는 중요하지 않고, 친구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다른 생각을 얼마나 자신 있게 표현하고 쓰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많이 준비했느냐는 질문에 당연히 나름대로 자기 생각을 꽤 많이 준비했다고 대답한다는 것입니다.

아, 그것이었습니다. 자신감의 원천은 양(量)이 아니라 질(質)이었습니다. 정해진 양을 학습했느냐를 물으면 우린 평생 준비부족입니다. 세상에 알아야 하고 배워야 할 내용은 무한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많이 알면 알수록 더 많은 것을 모른다고 생각하게 되겠지요. 그러나 어떤 한 가지 쟁점에 대해 남과 다른 생각을 한다면 그건 충분히 ‘꽤’ 준비 가능하지 않을까요.

실제로 유학시절 사소한 문제를 몇 년간 물고 늘어져 결국 논문으로 만들고, 결과적으로 그 논문은 정말 창의적인 것으로 태어나는 것을 보았습니다. 많이 아는 것보다 다르게 보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알게 해주었지요. 실제로 남과 다르게 생각하려면, 현재 같은 생각들은 어떤 것들인가를 파헤치는 것이 필수며 그 과정에서 양은 저절로 채워진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우린 말로만 ‘Think differently’를 외치면서 다른 생각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공부 많이 했다고 말해도 싫어하고, 겸손하게 안 했다고 하고 점수 잘 나와도 싫어합니다. 같은 길을 가지 않는 사람은 마치 자신을 공격하는 사람인 것처럼 피해의식을 갖습니다. 대다수가 가는 길을 비난하면 집단 따돌림을 당합니다. 우리 사회는 개인이 가진 잠재력과 장점을 격려하는 쪽이 아닌, 다같이 하향 평준화되는 길을 택해 왔습니다.

그러나 이젠 글로벌 시장이 우리에게 펼쳐 있습니다. 이젠 다른 것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준비 많이 했어요.”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자신감과 그 말에 책임을 지는 노력, 그 자신감을 수용하고 격려해 주는 사회 분위기, 그리고 무엇보다 함께 더 나은 것을 향해 가는 집단 지성의 문화를 만들 때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자칫 일본이 걸어온 길을 따라가는 건 아닐까 걱정이 앞섭니다.

매켄지는 ’Korea’s Fight for Freedom’이라는 책에서 일본 식민지정책이 영국이나 다른 국가에 비해 가장 나빴던 점은 정복국가의 문화말살이었다고 말합니다. 강압적으로 자신들의 문화를 심으려 했던 이기적 집단주의, 혹시 그 흔적이 우리에게 남아 있는 건 아닐까요. 이제 빠르고 다양한 글로벌 문화에 맞는 다른 속성이 필요할 것입니다. “네. 그 문제는 제가 좀 압니다.”, “꽤 많이 준비했습니다.”, “제가 이해시켜 드릴 자신 있습니다.”와 같은 얘기를 더 많이 듣고 싶습니다.
2010-11-22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