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옌볜’이 아니라 ‘연변’이었다/고영회 성창특허법률사무소 대표

[열린세상] ‘옌볜’이 아니라 ‘연변’이었다/고영회 성창특허법률사무소 대표

입력 2010-07-15 00:00
수정 2010-07-1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얼마 전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있는 연길, 용정, 도문, 왕청 지역을 둘러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중국의 동북부는 예전 우리 조상이 누비던 땅이었고 지금도 적지 않은 우리 민족이 여전히 살고 있기에 호기심도 많았습니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는 먹고 살기 위해, 또는 이주를 강요당해 살기 시작한 땅이었지만 그곳은 독립운동을 하던 본거지였고, 수많은 애국지사를 길러 낸 땅이었기에 그들은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는지 퍽이나 궁금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고영회 변리사·대한변리사회 부회장
고영회 변리사·대한변리사회 부회장
그들이 쓰는 말과 글을 관심 있게 살펴봤습니다. 연변자치주에 달린 영업용 간판, 교통 이정표, 각종 안내문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것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표기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간판에 글을 두 줄로 쓸 때에는 위에 한글을 적고 아랫줄에 한자로 적습니다. 그리고 한 줄로 적을 때에는 왼쪽에 한글을 적고 그 다음에 한자어를 적습니다. 그러니까 각종 표시물을 적을 때에는 단연 한글이 우선입니다. 제가 묵었던 호텔의 큰 돌에도 ‘국제호텔+國際飯店’이라고 적혔고 아래에 영어 이름이 쓰였습니다. 우리나라 호텔이 이름을 표시하는 것과 비교하면 아주 경이롭지 않습니까?

한자에 대응하여 한글을 쓸 때에도 중국어 발음과 상관없이 여지없이 우리 소리로 명쾌히 적고 있습니다. 한 가지 예를 든다면 한글로 ‘연변대학 구강병원’이라고 적고 있지 ‘옌볜대학 구강병원’이라고 적지 않더군요. 우리나라에서 모택동이라 할 것인지 마오쩌둥이라 적을 것인지 오락가락하고 있다 해도 연변에서는 태도가 단호하고 분명했습니다. 한자로 된 이름이나 지명은 우리글로 적을 때에는 우리가 읽는 소리로 적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어쨌건 현지 조선족이 ‘연변’이라고 쓰고 있는데도 우리가 ‘옌볜’이라고 쓰는 것은 곤란하겠습니다.

현지에서 우리 글로 쓰인 책을 몇 권 샀습니다. 우리 글로 쓰인 책이어서 별 불편 없이 읽어내릴 수 있었습니다. 같은 글을 쓰는 민족의 장점이겠지요. 그런데 책들에서는 몇 가지 우리와 다른 점도 보입니다.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첫소리에 ㄴ, ㄹ이 나올 때 ㅇ, ㄴ으로 바꿔 적는 것인데 우리는 ‘여자, 이해, 내일, 임시정부’라 적지만 연변에서는 ‘녀자, 리해, 래일, 림시정부’등과 같이 적더군요.

두음법칙에 익숙한 우리로서는 상당히 어색합니다. 그러나 세종대왕의 뜻을 생각하면 원래 정해진 소리로 적는 게 더 적절하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 소리가 글자 처음에 나오더라도 소리를 내는 데 어렵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고, 우리나라에서도 ‘류’씨와 같이 일부 성씨에서 원래 소리를 쓰는 것을 허용하고 있어서 영 어색한 것도 아닙니다. 표기의 혼선을 피하려면 원래 소리를 지키는 게 옳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책에서 보면 띄어쓰기는 우리와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그곳 책에서는 “안중근이 이등박문을 ‘격살한것’은 ‘력사적사건’이었다.”와 같이 붙여 쓰더군요. 이외에도 ‘폭발한후, 알아볼수, 책을 사는데’와 같이 붙여 씁니다. 연변자치주에서 쓰는 국문법을 따로 확인하지 않아 제대로 쓴 것인지 명확하진 않지만 띄어쓰기 기준이 우리와 상당히 다를 것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외에도 어미변화나 사이시옷 사용법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남의 땅에 살면서도 우리말과 글을 우선하고 우리식 소리로 적는 것을 보면서 동시에 우리나라의 거리 모습이며 신문, 방송들을 생각하니 낯이 뜨겁습니다. 한글의 표준은 어느 세계에서든 널리 통하도록 하나로 만들어 가면 좋겠습니다. 우리말과 글의 표준을 정할 때에는 연변의 몇 가지를 참고하는 게 좋겠습니다.

우리의 정체성과 주체성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김좌진 장군은 동족 손에 죽고, 구한말 권력자들은 나라를 위해 싸우기는커녕 자기를 위해 나라를 팔아먹는 바람에 백성은 만주 벌판에 내몰렸습니다. 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독립운동도, 선진화도 한순간에 무너져 버릴지 모른다는 걱정이 생깁니다. 연변자치주 조선족의 삶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2010-07-15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