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에 가면 주로 건강이나 자녀의 취업, 결혼 등을 얘기한다. 정치는 이런 일상적 대화 이후에나 나온다. 그런데 반응이 흥미롭다. “젊은 놈이 쓸데없는 소리를 한다”, “정치 뉴스 나오면 채널을 돌린다”, “꼴 보기 싫은 인간들 얘기는 왜 하느냐”며 불편해한다. 정치 성향과 관계없이 정치를 불신하는 분위기가 물씬 드러난다.
얼마 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나온 소식도 이와 무관치 않다.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뉴스 회피 여부를 조사했더니 10명 중 7명은 의도적으로 뉴스를 외면한 적이 있다고 했다. 그 이유로 ‘정치적 사건, 이슈들이 너무 많을 때’, ‘보고 싶지 않은 인물이 뉴스에 나올 때’, ‘반복적으로 너무 많은 뉴스가 쏟아져 나올 때’ 등이 꼽혔다.
불편한 뉴스라도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며 공동체의 발전에 도움되는 내용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이용자들은 눈과 귀를 닫으려 한다. 정보에 노출돼 나를 고갈시키기보다 정보 차단으로 정서적 안정감이라도 찾겠다는 심산이다. 뉴스 생산자와 소비자 간 뉴스에 대한 인식 차이를 어떻게 좁힐지 고민스러운 상황이다.
2024-09-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