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더 오래 뭉근하게/황수정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더 오래 뭉근하게/황수정 수석논설위원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3-10-29 23:40
업데이트 2023-10-29 2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눈금으로 잴 수 없는 말이 좋아진다. ‘뭉근하다’라는 말은 얼마나 뭉근한가. “뭉근하다” 한번 말해도 한참 동안 입안이 따듯하게 데워진다.

죽자고 울어 덤비던 매미는 여름의 전설이 됐고. 버티던 홑이불은 장롱 깊숙이 들어갔고. 일없던 저 공터에는 누가 공을 들였을까. 시퍼렇게 단물 든 가을 무청, 옆에서 푸석거리는 호박잎. 푸르렀던 순서대로 어김없이 시들어 떠나는 때.

뭉근한 것의 의미를 누가 묻는다면 국어사전에 없는 말로 답하고 싶다. 가을볕에 종일 데워졌다 오래 식지 않던 것들. 도둑고양이가 해가 져도 배를 깔고 졸던 다듬잇돌, 난데없이 봉숭아 늦꽃이 피던 장독간의 소금단지, 걸터앉으면 발가락까지 노곤하던 마루끝. 없는 듯 제자리에 있던 속 깊은 것들의 온도.

무연히 쓸쓸한 이런 저녁이면 뭉근한 것들 생각이 간절해진다. 간절해져서, 바람같이 앉았다 오고 싶은 곳. 언제 앉아 보았던가 아닌가 기억도 가물한 자리. 저녁밥상 방금 들어가 저녁내 혼자 뭉근했을 그 고요한 부뚜막에.
황수정 수석논설위원
2023-10-30 27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