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 아들과 대화할 때 웬만하면 필자가 자랄 적 얘기는 하지 않으려고 노력해 왔다. 아이들의 표정에 ‘또 그 얘기야?’란 심드렁함이 묻어 있다는 것을 눈치채고부터다. 그 이전까지 대화에 등장하는 사연은 다양했다. 다만 ‘가난해서 고생했다’, ‘그럼에도 열심히 공부했다’ 는 큰 주제에서 벗어난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대놓고 나무라진 않았지만 ‘너희들은 좋은 환경에서 왜 이모양이냐?’로 들렸나 보다.
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젊은 후배들과 함께 있을 때 자꾸 아득한 옛 얘기를 하는 사람들이 눈에 띈다. 나이 비슷한 친구들끼리야 추억 되새김질이 마냥 즐겁지만, 전혀 다른 환경에서 자란 젊은이들이 얼마나 공감할까 하는 생각이 앞선다. 술이라도 한잔 걸치면 과장된 무용담, 고행담이 되기 쉽다.
때론 ‘산 날이 살 날보다 많으니 당연한 것 아냐?’라며 자위한다. 그래도 퇴행하는 것 같아 개운치는 않다. 대화의 시제도 버릇이다. 주로 과거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현재나 앞으로의 일에 대해 말하는 이들도 있다. 과거보다는 미래를 말하는 사람이 더 성공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그만큼 실천하기 어렵다는 방증인 듯도 싶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사회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젊은 후배들과 함께 있을 때 자꾸 아득한 옛 얘기를 하는 사람들이 눈에 띈다. 나이 비슷한 친구들끼리야 추억 되새김질이 마냥 즐겁지만, 전혀 다른 환경에서 자란 젊은이들이 얼마나 공감할까 하는 생각이 앞선다. 술이라도 한잔 걸치면 과장된 무용담, 고행담이 되기 쉽다.
때론 ‘산 날이 살 날보다 많으니 당연한 것 아냐?’라며 자위한다. 그래도 퇴행하는 것 같아 개운치는 않다. 대화의 시제도 버릇이다. 주로 과거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현재나 앞으로의 일에 대해 말하는 이들도 있다. 과거보다는 미래를 말하는 사람이 더 성공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그만큼 실천하기 어렵다는 방증인 듯도 싶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3-2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