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제2의 이름인 아이디(ID·Identity)를 하나쯤 가지고 있다. 기자들의 공개된 이메일 ID를 보면 작명 이유가 궁금할 때가 있고, 반짝이는 기지에 감탄사가 나올 때도 있다. ‘영만’은 청년이라는 영맨(youngman)을, ‘창구’는 창문을 뜻하는 윈도(window)를, ‘해국’은 바다나라 시월드(seaworld)를 사용한다. 오일만(oilman)처럼 성과 이름이 조화로운 ID를 만나면 미소를 짓게 된다. 세대 차이도 알 수 있다. 나이가 든 세대는 성을 살리고, 이름을 약자로 사용한다. 이경형(khlee), 윤여권(ykyoon)…. 영문 약자이면서 근사한 것도 있는데 주로 젊은 세대들의 몫이다. 고은영(key), 오세진(5sjin), 신융아(yashin)…. 그러나 최광숙(bori), 박홍환(stinger), 유영규(whoami), 김동현(moses) 등의 ID를 만나면 궁금증이 일어난다.
며칠 전 친구가 내 명함을 보더니 대뜸 “너 ID 계수씨 이름이지?” 하고 묻는다. “아니. 두 아이의 이름에서 한 자씩 빌렸다.” 답을 하고 나니 ID를 만들던 그때의 기억이 새롭다. 지나온 길은 돌아보지 말라고 하지만 뒤돌아보는 것은 나이 탓만이 아닐 것이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며칠 전 친구가 내 명함을 보더니 대뜸 “너 ID 계수씨 이름이지?” 하고 묻는다. “아니. 두 아이의 이름에서 한 자씩 빌렸다.” 답을 하고 나니 ID를 만들던 그때의 기억이 새롭다. 지나온 길은 돌아보지 말라고 하지만 뒤돌아보는 것은 나이 탓만이 아닐 것이다.
강동형 논설위원 yunbin@seoul.co.kr
2016-01-2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