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 회식 장소는 어떻게 정하는 게 가장 합리적이에요?” 며칠 전 대기업에 다니는 학교 후배가 전화로 뜬금없는 질문을 했다. 부장으로 승진해 첫 부서 회식을 했는데 부원들의 반응이 신통치 않았던 모양이다. 알고 보니 부원 7명 중 2명이 생선회를 못 먹어 고등어조림만 깨작거렸단다. 뻔하지만 잘 지켜지지 않는 내용의 답을 했다. “부원들에게 맡기고 정해지면 따라만 가.”
회식은 직장인들에게 피할 수 없는 운명과도 같다. ‘일만 잘하면 되지’란 생각에 ‘퇴근 후엔 노 터치’를 외치는 간 큰 회사원들이 늘고는 있지만 말이다. 사무실에선 바쁜 데다가 분위기상 제대로 이야기를 나누기 어렵다. 이럴 때 회식에서 정보를 교류하고 정서적 교감도 나눌 수 있다. 동료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다. 물론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회식일 때에 한해서 그렇다.
불편함은 작고 즐거움은 큰 회식이 되려면 장소 선택이 민주적이어야 한다. 시종일관 자기 취향만 고집하거나, 알아서 잡으라고 해 놓고 막상 당일에 “고기 당기는 날” 어쩌고 하면서 분위기를 깨는 상사는 최악이다. 가야 하는 회식을 가고 싶은 곳으로 만드는 것은 수많은 부장님들의 몫이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회식은 직장인들에게 피할 수 없는 운명과도 같다. ‘일만 잘하면 되지’란 생각에 ‘퇴근 후엔 노 터치’를 외치는 간 큰 회사원들이 늘고는 있지만 말이다. 사무실에선 바쁜 데다가 분위기상 제대로 이야기를 나누기 어렵다. 이럴 때 회식에서 정보를 교류하고 정서적 교감도 나눌 수 있다. 동료에 대한 이해의 폭도 넓힐 수 있다. 물론 구성원들이 만족하는 회식일 때에 한해서 그렇다.
불편함은 작고 즐거움은 큰 회식이 되려면 장소 선택이 민주적이어야 한다. 시종일관 자기 취향만 고집하거나, 알아서 잡으라고 해 놓고 막상 당일에 “고기 당기는 날” 어쩌고 하면서 분위기를 깨는 상사는 최악이다. 가야 하는 회식을 가고 싶은 곳으로 만드는 것은 수많은 부장님들의 몫이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1-1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