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인연을 맺은 친구 중 하나는 경북 상주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 한 번도 얼굴을 본 적은 없지만, 이 친구가 올리는 사진과 글에는 농촌의 현실이 리얼하게 담겨 있어 유심히 보게 된다. 그런데 얼마 전 올라온 사진은 안타까움 자체였다.
겨울에 접어들었건만 감나무에는 가지가 찢어질 듯 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 딸 사람이 없어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친구는 “까치밥치고는 좀 많다”고 농담을 했지만 웃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TV 프로그램에는 풍년을 구가하는 농민의 모습만 비친다. 곶감을 만드는 장면만 해도 하도 봐서 이제는 아는 체를 할 수 있을 지경이다.
반면 은퇴한 선배는 감나무 사진을 보더니 “이거 아까운데…” 한다. 농촌 체험 여행이라도 갈 판인데 2박3일 정도의 품앗이라면 자기도 손을 들겠다는 것이다. 물론 최소한의 품삯은 염두에 두고 있는 듯했다. 문제는 인건비가 헐하다 해도 생산성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데 있다. 그런 만큼 정부나 기업이 저소득층이나 농어촌 돕기에 응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부나 기업은 품삯을 지원하고 농가는 숙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겨울에 접어들었건만 감나무에는 가지가 찢어질 듯 감이 주렁주렁 달려 있었다. 딸 사람이 없어 방치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친구는 “까치밥치고는 좀 많다”고 농담을 했지만 웃을 수 없었다. 그럼에도 TV 프로그램에는 풍년을 구가하는 농민의 모습만 비친다. 곶감을 만드는 장면만 해도 하도 봐서 이제는 아는 체를 할 수 있을 지경이다.
반면 은퇴한 선배는 감나무 사진을 보더니 “이거 아까운데…” 한다. 농촌 체험 여행이라도 갈 판인데 2박3일 정도의 품앗이라면 자기도 손을 들겠다는 것이다. 물론 최소한의 품삯은 염두에 두고 있는 듯했다. 문제는 인건비가 헐하다 해도 생산성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는 데 있다. 그런 만큼 정부나 기업이 저소득층이나 농어촌 돕기에 응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부나 기업은 품삯을 지원하고 농가는 숙식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1-28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