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의 개심사는 역사가 백제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지만, 지금은 이른바 산지중정(山地中庭)형의 전형적인 조선 후기 사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사찰이 폐허가 되자 큰 법당을 북쪽에 둔 직사각형 가람의 모습으로 중건한 것으로 추정한다.
개심사가 유명해진 이유의 하나는 심검당(尋儉堂)에 붙인 덧집 때문이다. 심검당은 ‘지혜의 칼을 벼리는 공간’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도저히 동량(棟梁)이 될 수 없을 구불구불한 재목을 써서 덧집을 지은 것이다.
전남 구례 화엄사의 구층암에도 모과나무를 치목(治木)하지 않은 채 그대로 기둥으로 사용한 건물들이 있다. 모두 자연미를 살린 조상의 지혜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왠지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려는 작위(作爲)의 느낌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농업박물관에서 세 칸 구유를 보고 무릎을 쳤다. 휘어지고 뒤틀려 장작 말고는 쓸모없을 나무의 곡선을 살려 세 칸의 여물통을 판 것이다. 농업박물관은 이 구유를 ‘농업 보물 9호’로 지정했다고 한다. ‘농업 보물’이라는 아이디어도 재미있고, 이 여물통을 보물로 지정한 안목도 감탄스러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개심사가 유명해진 이유의 하나는 심검당(尋儉堂)에 붙인 덧집 때문이다. 심검당은 ‘지혜의 칼을 벼리는 공간’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도저히 동량(棟梁)이 될 수 없을 구불구불한 재목을 써서 덧집을 지은 것이다.
전남 구례 화엄사의 구층암에도 모과나무를 치목(治木)하지 않은 채 그대로 기둥으로 사용한 건물들이 있다. 모두 자연미를 살린 조상의 지혜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왠지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려는 작위(作爲)의 느낌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농업박물관에서 세 칸 구유를 보고 무릎을 쳤다. 휘어지고 뒤틀려 장작 말고는 쓸모없을 나무의 곡선을 살려 세 칸의 여물통을 판 것이다. 농업박물관은 이 구유를 ‘농업 보물 9호’로 지정했다고 한다. ‘농업 보물’이라는 아이디어도 재미있고, 이 여물통을 보물로 지정한 안목도 감탄스러웠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1-19 31면